본문 바로가기

읽을거리

9. 勤學篇 9. 勤學篇널리 배우기를 힘써 뜻을 굳게 가져라子夏曰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仁在其中矣자하왈 박학이독지 절문이근사 인재기중의☞ 자하가 말하기를, "널리 배워서 뜻을 두텁게 하고, 간절하게 묻고 가까운 것에서부터 생각해 나가면 인(仁)은 그러한 가운데에 있다."▷ 博 : 넓을 박 ▷ 篤 : 도타울 독, 굳을 독 ▷ 切 :끊을 절,간절할 절, 절실할 절 ▷ 矣 : 단정·결정·한정·의문 등의 뜻을 나타내는 어조사莊子曰 人之不學 如登天而無術장자왈 인지불학 여등천이무술學而智遠 如披祥雲而覩靑天 登高山而望四海학이지원 여피상운이도청천 등고산이망사해☞ 장자가 말하기를, "사람이 배우지 아니함은 재주없이 하늘에 오르려는 것과 같고, 배워서 지혜가 깊어짐은 상서로운 구름을 헤치고 푸른 하늘을 보며, 높은 산에 올라 사해(四海.. 더보기
8. 戒性篇 8. 戒性篇성품을 경계하도록 하는 경구들이 실려 있다. 참을 인(忍)자 셋이면 살인도 피하고, 참고 또 참으면 불행도 피해간다.景行錄云 人性如水 水一傾則不可復 性一縱則不可反경행록운 인성여수 수일경즉불가복 성일종즉불가반制水者必以堤防 制性者必以禮法제수자필이제방 제성자필이예법☞ 에 이르기를, "사람의 성품은 물과 같아서 물이 한번 기울어져 쏟아지면 다시 담을 수 없듯이 성품도 한번 놓여지면(방종해지면) 되돌릴 수 없다. 물을 잡기 위해서는 반드시 둑을 쌓아야 하듯이 성품을 올바로 다스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예법을 지켜야 한다."▷ 傾 : 기울 경 ▷ 則 : ~하면 ▷ 不可 : ~할 수 없다, ~해서는 안된다. ▷ 復 : 돌아올 복 ▷ 縱 : 놓을 종, 쫓을 종 ▷ 反 : 되돌릴 반 ▷ 制 : 억제할 제, 제어할.. 더보기
7. 存心篇 7. 存心篇인의(仁義)의 마음 지키기를 성(城) 지키듯이 하라.景行錄云 坐密室如通衢 馭寸心如六馬 可免過경행록운 좌밀실여통구 어촌심여육마 가면과☞ 에 이르기를, "밀실(密室)에 앉아 있더라도 마치 네 거리에 앉은 것처럼 여기고, 작은 마음 다스리기를 마치 여섯필의 말을 부리듯 하면 허물을 면할 수 있다."▷ 坐 : 앉을 좌 座 : 자리 좌 ▷ 密室(사방이 막혀 있는 곳) ↔ 通衢(사방이 뚫린 곳) ▷ 衢 : 네거리 구 ▷ 馭 : 말 부릴 어, 다스릴 어 ▷ 寸 : 마디 촌, 작을 촌. 길이의 단위로 一寸은 一尺의 1/10 ▷ 六馬 : '여섯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로도 풀이함 ▷ 過 : 허물 과擊壤詩云 富貴如將智力求仲尼年少合封侯격양시운 부귀여장지력구 중니연소합봉후世人不解靑天意 空使身心半夜愁세인불해청천의 공.. 더보기
6. 安分篇 6. 安分篇안분지족(安分之足)의 처세(處世). 분수를 지키면 욕됨이 없고 마음이 편안해진다.景行錄云 知足可樂 務貪則憂경행록운 지족가락 무탐즉우☞ 에 이르기를, "만족함을 알면 즐거울 것이요, 탐하기를 힘쓰면 곧 근심이 된다."▷ 足 : 넉넉할 족, 족할 족 ▷ 務 : 힘쓸 무 ▷ 貪 : 탐할 탐知足者 貧賤亦樂 不知足者 富貴亦憂지족자 빈천역락 부지족자 부귀역우☞ 만족함을 아는 사람은 가난하고 천하여도 또한 즐거울 것이요, 만족함을 모르는 사람은 부하고 귀하여도 역시 근심한다.▷ 賤 : 천할 천 ▷ 亦 : 또, 또한 ▷ 憂 : 근심할 우濫想徒傷神 妄動反致禍남상도상신 망동반치화☞ 분수에 넘치는 생각은 오직 정신만 상하게 할 뿐이요, 망령된 행동은 도리어 재앙만 가져온다.▷ 濫 : 넘칠 람 濫想 '쓸데없는 생각.. 더보기
5. 正己篇 5. 正己篇맑은 마음과 바른 몸가짐을 가지는 수신(修身)에 도움이 되는 글귀들이 수록되어 있다.性理書云 見人之善而尋己之善성리서운 견인지선이심기지선 見人之惡而尋己之惡 如此方是有益견인지악이심기지악 여차방시유익☞ 에 이르기를, "남의 착한 것을 보고서 자신의 착함을 찾고, 남의 악한 것을 보고서 자신의 악함을 찾아야 할 것이니, 이와 같이 하게 되면 바야흐로 유익함이 있을 것이다."▷ 성리서(性理書) : 인간의 심성과 우주의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인 성리학에 관한 송나라 때의 책 ▷ 云 : 이를 운 ▷ 人 : 다른 사람, 타인(他人)을 뜻함 ▷ 而 : 말 이을 이 ▷ 尋 : 찾을 심 ▷ 如此 : 이와 같이 하면, 이와 같으면 ▷ 方 : 바야흐로 방 ▷ 是 : 이, 이것, 여기景行錄云 大丈夫 當容人 無爲人所容경행.. 더보기
4. 孝行篇 4. 孝行篇백행(百行)의 근본이라 하는 효(孝)에 관한 글귀들이 쓰여 있다.詩曰 父兮生我 母兮鞠我 哀哀父母 生我勞시왈 부혜생아 모혜국아 애애부모 생아구로欲報深恩 昊天罔極욕보심은 호천망극☞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아버지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 나를 기르시니, 아! 슬프도다, 부모님이시여,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애쓰시고 고생하셨다. 그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하나, 은혜가 넓은 하늘과 같아 끝이 없네."▷ 詩는 시경(詩經)을 말한다. ▷ 혜(兮) : 멈춤·완만함·감정·감탄을 나타내는 어조사. '~여!, ~인가!' ▷ 生 : 낳다, 살다 ▷ 鞠 : 기를 국 ▷ 哀 : 슬플 애 ▷ : 수고로울 구 ▷ 勞 : 일할 로, 힘쓸 로▷ 欲 : 하고자 할 욕, 바랄 욕 ▷ 昊 : 넓을 호, 하늘 호 ▷ 罔 : 없을 망, 그.. 더보기
3. 順命篇 3. 順命篇하늘의 이치, 자연의 이치를 거스리지 않고 자신의 본분과 분수에 맞는 생활에 관한 글귀들이 쓰여 있다.子曰 死生有命 富貴在天자왈 사생유명 부귀재천☞ 공자가 말하기를, "죽고 사는 것은 천명(天命)에 있고, 부귀(富貴)는 하늘에 달려 있다."▷ 命 : ①목숨→生命 ②운명 · 운수→運命 ③명령→天命 ④이름짓다→命名 ⑤표적→命中 ▷ 天 : 천명, 운명, 하늘의 뜻萬事分已定 浮生空自忙만사분이정 부생공자망☞ 모든 일은 분수가 이미 정해져 있는데, 덧없는 세상 사람들이 부질없이 스스로 바쁘게 움직인다.▷ 分 : ①나눌 분→分斷 ②구별할 분→分別 ③길이·무게·시간·각도·화폐 등의 단위→十分 ④신분·직분·분수→身分 ▷ 已 : 이미 이 ▷ 定 : 정하다, 정해지다, 반드시 ▷ 浮 : 뜰 부. 浮生은 '덧없는 .. 더보기
2. 天命篇 2. 天命篇선을 지키고 악을 버리는 하늘의 진리, 하늘의 명에 관한 글귀들이 있다.子曰 順天者存 逆天者亡자왈 순천자존 역천자망☞ 공자가 말하기를, "하늘에 순응하는 자는 살고, 하늘을 거역하는 자는 망한다."▷ 順 : 좇을 순, 순할 순 ▷ 逆 : 거스를 역康節邵先生曰 天聽寂無音 蒼蒼何處尋강절소선생왈 천청적무음 창창하처심非高亦非遠 都只在人心비고역비원 도지재인심☞ 강절(康節) 소(邵)선생이 말하기를, "하늘의 들으심은 고요하여 소리가 없으니 창창한 하늘 어느 곳에서 찾을 것인가. 높지도 않고 또한 멀지도 않으니, 모든 것이 다만 사람의 마음속에 있을 뿐이다."▷ 寂 : 고요할 적 ▷ 蒼 : 푸를 창 ▷ 何 : ①어찌, 어째서, 어떻게(의문 조사) ②얼마, 무엇, 어느(의문대명사) ▷ 尋 : 찾을 심 ▷ 亦..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