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 이럴수가/내란음모 정치공작

북한 관련글 반대 클릭 3건뿐…국정원 ‘종북 대응’ 해명 무색

북한 관련글 반대 클릭 3건뿐…국정원 ‘종북 대응’ 해명 무색
‘오유’ 게시글 1467건 분석결과
박근혜 후보 불리한 글 반대 734건
문재인·안철수 옹호글 반대 366건
‘베스트 게시판’에 못 오르게 막아

ID 생성·활동 대선 앞둔 시기 집중
잦은 반대로 운영자 경고글 뜨기도

[한겨레] 정환봉 기자 | 등록 : 2013.04.30 20:23 | 수정 : 2013.05.01 08:28


▲ 국가정보원의 대선 여론조작 및 정치개입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이 30일 서울 내곡동에 있는 국가정보원을 13시간가량 압수수색한 뒤 밤늦게 버스를 이용해 압수물을 실어 내오고 있다. 김정효 기자

국가정보원 직원 김아무개(29)씨 등이 ‘오늘의 유머’(오유) 누리집에서 벌인 활동은 국정원의 설명과 달리 ‘종북 대응’과는 거리가 먼 정치적인 내용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원의 정상적인 대북 심리전 활동이었다는 국정원과 일부 보수진영의 주장은 더욱 궁지에 몰리게 됐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이 국정원과 연계된 아이디 73개의 ‘오유’ 누리집 활동을 분석한 결과, 국정원 직원 김씨 등이 1467차례의 게시글 반대 활동을 하면서 북한 관련 글에 반대한 것은 단 3차례였다. 전체의 0.2%에 불과한데, 그나마도 모든 글이 종북 성향은 아니었다.

해당 게시글은 △‘29살로 소년가장인 김정은에게 누가 돌을 던질 수 있겠냐’는 취지의 글 △‘인민을 위한 놀이공간이라…’는 제목의 글 △“이명박 대통령이 군통수권자로서 자질과 철학에 문제가 있다”는 국회 국방위원장 유승민 의원의 발언을 담은 <동아일보> 기사를 가져온 글이었다.

게시글 반대 활동 중 75%에 이르는 1100차례는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대선 후보에게 불리한 글(734차례)과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를 옹호한 글(366차례)에 반대한 것이었다. 박 후보에게 불리한 게시글이 ‘베스트 게시판’에 오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던 셈이다.

예를 들어, 지난해 9월14일 오유에서 ‘박근혜 후보의 역사인식 논란’이라는 제목의 글이 10차례의 ‘추천’을 받았지만 국정원과 연계된 아이디들이 6차례 ‘반대’를 표시했다. 이 글에는 대선 때 박 후보가 ‘인혁당 사건’ 피해자에 대한 사과를 문제삼은 내용의 인터넷 방송이 링크(연결)돼 있었다. 오유에서 ‘베스트 게시판’에 오르려면 ‘추천’이 10차례 이상이면서 ‘반대’가 3차례 미만이어야 한다. 오유의 운영 시스템을 악용한 국정원 연계 아이디들의 ‘반대’ 표시로 ‘베스트 게시판’에 오르지 못한 글은 400여개에 이르렀다.

73개 아이디가 만들어진 시점과 활동 양상도 대선과 관련이 깊다. 이들 아이디는 모두 지난해 8월27일~11월28일 사이에 만들어졌다. 대선을 앞두고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대선 관련 목적이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특히 대선 당시 박 후보와 관련한 게시글에 비슷한 시간대에 몰려다니며 집단적으로 반대를 표시했다. 지난해 9월14일 오유 시사게시판에 올라온 ‘박근혜, 본인과 정수장학회 무관하다더니’라는 게시글에는 5개의 반대가 달렸다. 모두 국정원과 연계된 아이디가 반대를 누른 것이다. 이 게시글에 대한 반대는 글이 게시된 날 오후 2시46분에 시작돼 16분 사이에 4차례 이뤄졌다.

이들 아이디는 지난해 8월28일부터 활동을 시작해 9월10~18일 하루 100개 이상의 게시글 반대 활동을 하는 등 매우 활발하게 움직였다. 하지만 지난해 9월18일 오유 운영자가 “여러개의 아이디를 만들고 아이피를 바꿔가면서 ‘반대 테러’ 행위를 범하는 사용자에게 강력 대처한다”고 공지한 뒤 활동이 하루 평균 10여개 수준으로 줄었다.

이들의 활동은 문재인·안철수 후보가 단일화 토론을 벌인 지난해 11월21일 이후 다시 활발해졌다. 대선 경쟁이 본격화하자 다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하루 평균 30차례 이상 반대 활동을 벌이다가 김씨의 정체가 민주당에 적발된 지난해 12월11일 이후 일제히 활동이 멈췄다.


출처 : 북한 관련글 반대 클릭 3건뿐…국정원 ‘종북 대응’ 해명 무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