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가 아니라 성노예, 친일파가 아니라 매국노다
스토리펀딩 <100년이 묻습니다>를 지지하며
[오마이뉴스] 이희동 | 19.02.20 15:42 | 최종 업데이트 : 19.02.20 15:42
초등학교 국어시간이었을 것이다. 그날은 세계 각 지역 말에 대해 배우는 시간이었는데, 선생님께서 이상한 말씀을 하셨다. 우리가 보는 하얀 눈이 알레스카 에스키모가 보면 여러 가지색 깔이라는 것이다. 잉?
고개를 갸우뚱하는 학생들에게 선생님은 우리말의 예를 들어주셨다. 노란색은 노란색만 있는 게 아니라 싯누렇고, 누르스름하고, 샛노란 색들도 있다는. 그때 깨달았다. 우리가 보고 인지하고 말하는 것이 다를 수 있음을. 문화적 환경에 따라 사물을 다르게 인식하고, 그 인식에 따라 언어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이는 이후 내게 꽤 많은 영향을 끼쳤다. 언어가 나의 사고를 지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만큼 내가 쓰는 단어들을 의심하게 된 것이다. 혹시 지금 내가, 우리가 쓰고 있는 이 언어는 누군가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은 아닐까? 아니, 언어가 사고를 지배한다면 지금의 이 생각조차도 어떤 주어진 환경의 산물이 아닐까?
이런 고민은 대학에서 공부를 하면서 조금 더 구체화되었다. 내가 어렴풋이 생각했던 것이 철학의 인식론과 관계가 있으며,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는 언어학자 사이에서도 치열한 논쟁거리임을 배우게 되었다. 왜 사람들이 이름 하나 바꾸는 데 그리 목숨을 걸고 덤벼야 하는지, 그리고 그 단어 하나가 얼마나 많은 것을 바꿀 수 있게 되는지 깨닫게 된 것이다.
예컨대 80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보자. 그것이 광주사태일 때와 광주 민주화 운동일 때는 하늘과 땅 차이다. 혹자는 집권 세력에 의해 단순히 이름이 바뀌었을 뿐이라고 폄훼하지만, 관련자에게 있어 '광주사태'와 '광주민주화운동'은 엄청난 차이이며, 특히 80년 광주를 교과서로 배우는 이들에게는 더 커다란 차이일 수밖에 없다. 단어가 주는 정당성과 역사성 때문이다. 최근 토착왜구당의 5.18 관련 막말이 사회의 지탄을 받을 수 있는 것은 5.18이 민주화운동이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불편한 진실이 누군가에 의해서 순화되거나 다른 뜻을 가진 단어로 치환, 오염되는 현실. 여기 이 문제를 역사적으로 지적하고 나온 이들이 있다. 포털 다음에서 진행되고 있는 스토리펀딩 <100년이 묻습니다>가 바로 그것이다.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카피라이터 정철 등이 주축이 되어 진행하고 있는 스토리펀딩 <100년이 묻습니다>의 질문은 아주 간단하지만, 우리의 허를 찌른다. 그동안 우리가 간과하고 있었던 일제 강점기의 단어들을 끄집어내어 그 속에 숨어있는 우리의 무심함 혹은 비겁함에 대해 일갈한다.
첫 번째 지적하는 것은 바로 '위안부'. 그들은 최근에 돌아가신 김복동 할머니를 위시해서 과연 그들 할머니들을 지칭하는 위안부라는 단어가 적절하냐고 묻는다.
위안부. 그것은 일제 강점기 시대, 일본군이 전쟁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동원한 여성을 가리키는 단어로서 일본은 이를 두고 '일본 군일들을 위해 자발적으로 따라와 편안함을 주는 여자'라고 정의한다. '위안'이라는 단어를 붙임으로서 여성이 위로를 주고, 안심을 주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만든다.
그러나 알다시피 위안부는 절대 자발적인 존재가 아니다. 그것은 일제가 필요에 의해 여성의 성을 착취한 강제노동이며, 그들이 강제로 끌고 간 일본군 성노예다. 영어로도 위안부는 'sex slaves of the Japanese Army'라고 부르지 않는가.
물론 성노예라는 단어의 어감이 매우 끔찍한 것은 사실이다. 너무 아프고 슬프다. 그래서 무의식적으로 그것이 할머니들에게 2차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불러야 한다. 성노예라고 표현해야만 그 단어를 쓰는 사람들이 그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할 것이며, 그렇게 해야만 일본의 만행을 우리가 두고두고 잊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궁극적으로 할머니들을 돕는 일이기도 하다.
<100년이 묻습니다>의 두 번째 문제제기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이다. 그들은 왜 우리가 아직까지 '임시'를 붙이고 있느냐고 묻는다. 임시란 말 그대로 일시적이고 잠시 동안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이제는 임시정부 대신 초대정부를 써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물론 이와 관련해서는 찬반이 있을 수 있다. 당시 선인들이 임시정부라는 단어를 썼던 만큼 그 고유명사를 살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을 것이며, 반대로 현대에서 그 의미에 맞게 용어도 바꿔야 한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것은 우리가 임시라는 단어를 쓰면서 그동안 무의식적으로 임시정부를 타자화 해왔다는 사실이다. 헌법에는 대한민국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잇는다고 표기했지만 과연 얼마나 많은 이들이 대한민국의 시작을 100년 전이라고 생각할까? 어쩌면 해방 이후 지금까지 기득권들이 이승만 대통령을 국부로, 8.15 광복절을 건국절로 주장하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임시정부에 대한 무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일지도 모른다.
마지막으로 <100년이 묻습니다>는 '3.1운동'이란 단어가 주는 불편함에 대해 이야기한다.
물론 이 제안 역시 논란거리다. 혁명이란 기존의 시스템을 뒤엎고 국가 기초, 사회 제도, 경제 제도, 조직 따위를 근본적으로 고치는 일을 뜻하는데 3.1운동이 이와 같은 성격을 지녔냐는 점에서는 반론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부분의 혁명은 역사적으로 승리를 했을 때 붙이는데 3.1운동은 그렇지 않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문제제기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동안 우리는 3.1운동에 대해 너무 무지했기 때문이다. 그냥 당시 선인들이 3월 1일을 맞아 다 같이 만세를 불렀다고 생각할 뿐, 그들이 얼마나 절박하고 고통스러웠는지 잘 몰랐다. 2016년 촛불을 들었던 이로써 그들이 얼마나 절박했는지, 우리가 우리의 역사를 무의적으로 폄훼하고 있었던 건 아닌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100년이 묻습니다>는 위안부와 임시정부, 3.1운동에 대해 도발적으로 문제제기를 한다. 우리가 무심코 쓰는 그 단어들이 누구의 필요에 의해 오염된 것은 아닌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편하기 위해 선택했던 단어들이 아닌지 묻는다. 그 중에는 사람에 따라 꼭 고쳐야 할 것도 있으며, 논란거리가 되는 단어들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그 질문을 통해 우리의 인식을 다시금 되돌아 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같은 맥락으로 우리가 또 하나 곱씹어야하는 단어는 바로 '친일파'이다. 그동안 우리는 일제강점기 시대 나라를 팔아먹은 이들을 가리켜 친일파라고 불러왔다. 그러나 그것은 틀렸다. 친일파는 말 그대로 '일제와 친한 일파'로서 구한말 당시 친러파, 친미파 등과 마찬가지로 중립적인 뉘앙스를 띤다.
따라서 우리가 쓰는 의미로서 친일파를 표기하려면 매국노라고 해야 한다. 그들은 단순히 일제와 친한 세력이 아니라 일제에게 나라와 민족을 팔아먹고 사적인 영달을 누린 이들이기 때문이다. 친일파 이완용이 아니라 매국노 이완용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매국노를 매국노라 부르지 못하고 친일파라고 부르는 이유는 분명하다. 해방이후 반민특위가 실패하면서 아직까지 우리 사회가 매국노를 제대로 척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필요에 의해 우리의 언어세계를 오염시켰고, 우리는 그만큼 역사의 다른 이면에 대해 무지하다.
3.1운동,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역사를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우리의 언어를 돌아봐야 한다. 스토리펀딩 <100년이 묻습니다>를 응원한다.
출처 위안부가 아니라 성노예, 친일파가 아니라 매국노다
스토리펀딩 <100년이 묻습니다>를 지지하며
[오마이뉴스] 이희동 | 19.02.20 15:42 | 최종 업데이트 : 19.02.20 15:42
언어가 사고를 지배한다
초등학교 국어시간이었을 것이다. 그날은 세계 각 지역 말에 대해 배우는 시간이었는데, 선생님께서 이상한 말씀을 하셨다. 우리가 보는 하얀 눈이 알레스카 에스키모가 보면 여러 가지색 깔이라는 것이다. 잉?
고개를 갸우뚱하는 학생들에게 선생님은 우리말의 예를 들어주셨다. 노란색은 노란색만 있는 게 아니라 싯누렇고, 누르스름하고, 샛노란 색들도 있다는. 그때 깨달았다. 우리가 보고 인지하고 말하는 것이 다를 수 있음을. 문화적 환경에 따라 사물을 다르게 인식하고, 그 인식에 따라 언어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이는 이후 내게 꽤 많은 영향을 끼쳤다. 언어가 나의 사고를 지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만큼 내가 쓰는 단어들을 의심하게 된 것이다. 혹시 지금 내가, 우리가 쓰고 있는 이 언어는 누군가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은 아닐까? 아니, 언어가 사고를 지배한다면 지금의 이 생각조차도 어떤 주어진 환경의 산물이 아닐까?
이런 고민은 대학에서 공부를 하면서 조금 더 구체화되었다. 내가 어렴풋이 생각했던 것이 철학의 인식론과 관계가 있으며,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는 언어학자 사이에서도 치열한 논쟁거리임을 배우게 되었다. 왜 사람들이 이름 하나 바꾸는 데 그리 목숨을 걸고 덤벼야 하는지, 그리고 그 단어 하나가 얼마나 많은 것을 바꿀 수 있게 되는지 깨닫게 된 것이다.
▲ 찢겨지는 전두환, 김진태, 이종명, 김순례, 지만원 사진 16일 오후 광주광역시 옛 전남도청앞 금남로에서 "자유한국당 망언의원 퇴출, 5.18역사 왜곡 처벌을 위한 광주시민궐기대회"에서 시민들이 전두환, 이종명, 김진태, 김순례, 지만원 사진이 담긴 대형 현수막을 찢고 있다. ⓒ 권우성
예컨대 80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보자. 그것이 광주사태일 때와 광주 민주화 운동일 때는 하늘과 땅 차이다. 혹자는 집권 세력에 의해 단순히 이름이 바뀌었을 뿐이라고 폄훼하지만, 관련자에게 있어 '광주사태'와 '광주민주화운동'은 엄청난 차이이며, 특히 80년 광주를 교과서로 배우는 이들에게는 더 커다란 차이일 수밖에 없다. 단어가 주는 정당성과 역사성 때문이다. 최근 토착왜구당의 5.18 관련 막말이 사회의 지탄을 받을 수 있는 것은 5.18이 민주화운동이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불편한 진실이 누군가에 의해서 순화되거나 다른 뜻을 가진 단어로 치환, 오염되는 현실. 여기 이 문제를 역사적으로 지적하고 나온 이들이 있다. 포털 다음에서 진행되고 있는 스토리펀딩 <100년이 묻습니다>가 바로 그것이다.
위안부? 임시정부? 3.1운동?
▲ 스토리펀딩<100년이 묻습니다> ⓒ 100년이 묻습니다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카피라이터 정철 등이 주축이 되어 진행하고 있는 스토리펀딩 <100년이 묻습니다>의 질문은 아주 간단하지만, 우리의 허를 찌른다. 그동안 우리가 간과하고 있었던 일제 강점기의 단어들을 끄집어내어 그 속에 숨어있는 우리의 무심함 혹은 비겁함에 대해 일갈한다.
첫 번째 지적하는 것은 바로 '위안부'. 그들은 최근에 돌아가신 김복동 할머니를 위시해서 과연 그들 할머니들을 지칭하는 위안부라는 단어가 적절하냐고 묻는다.
위안부. 그것은 일제 강점기 시대, 일본군이 전쟁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동원한 여성을 가리키는 단어로서 일본은 이를 두고 '일본 군일들을 위해 자발적으로 따라와 편안함을 주는 여자'라고 정의한다. '위안'이라는 단어를 붙임으로서 여성이 위로를 주고, 안심을 주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만든다.
그러나 알다시피 위안부는 절대 자발적인 존재가 아니다. 그것은 일제가 필요에 의해 여성의 성을 착취한 강제노동이며, 그들이 강제로 끌고 간 일본군 성노예다. 영어로도 위안부는 'sex slaves of the Japanese Army'라고 부르지 않는가.
물론 성노예라는 단어의 어감이 매우 끔찍한 것은 사실이다. 너무 아프고 슬프다. 그래서 무의식적으로 그것이 할머니들에게 2차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불러야 한다. 성노예라고 표현해야만 그 단어를 쓰는 사람들이 그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할 것이며, 그렇게 해야만 일본의 만행을 우리가 두고두고 잊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궁극적으로 할머니들을 돕는 일이기도 하다.
▲ 잘못 쓰이는 "위안부" ⓒ 100년이 묻습니다
<100년이 묻습니다>의 두 번째 문제제기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이다. 그들은 왜 우리가 아직까지 '임시'를 붙이고 있느냐고 묻는다. 임시란 말 그대로 일시적이고 잠시 동안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이제는 임시정부 대신 초대정부를 써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물론 이와 관련해서는 찬반이 있을 수 있다. 당시 선인들이 임시정부라는 단어를 썼던 만큼 그 고유명사를 살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을 것이며, 반대로 현대에서 그 의미에 맞게 용어도 바꿔야 한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것은 우리가 임시라는 단어를 쓰면서 그동안 무의식적으로 임시정부를 타자화 해왔다는 사실이다. 헌법에는 대한민국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잇는다고 표기했지만 과연 얼마나 많은 이들이 대한민국의 시작을 100년 전이라고 생각할까? 어쩌면 해방 이후 지금까지 기득권들이 이승만 대통령을 국부로, 8.15 광복절을 건국절로 주장하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임시정부에 대한 무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일지도 모른다.
마지막으로 <100년이 묻습니다>는 '3.1운동'이란 단어가 주는 불편함에 대해 이야기한다.
물론 이 제안 역시 논란거리다. 혁명이란 기존의 시스템을 뒤엎고 국가 기초, 사회 제도, 경제 제도, 조직 따위를 근본적으로 고치는 일을 뜻하는데 3.1운동이 이와 같은 성격을 지녔냐는 점에서는 반론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부분의 혁명은 역사적으로 승리를 했을 때 붙이는데 3.1운동은 그렇지 않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문제제기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동안 우리는 3.1운동에 대해 너무 무지했기 때문이다. 그냥 당시 선인들이 3월 1일을 맞아 다 같이 만세를 불렀다고 생각할 뿐, 그들이 얼마나 절박하고 고통스러웠는지 잘 몰랐다. 2016년 촛불을 들었던 이로써 그들이 얼마나 절박했는지, 우리가 우리의 역사를 무의적으로 폄훼하고 있었던 건 아닌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친일파가 아니라 매국노
앞서 언급했듯이 <100년이 묻습니다>는 위안부와 임시정부, 3.1운동에 대해 도발적으로 문제제기를 한다. 우리가 무심코 쓰는 그 단어들이 누구의 필요에 의해 오염된 것은 아닌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편하기 위해 선택했던 단어들이 아닌지 묻는다. 그 중에는 사람에 따라 꼭 고쳐야 할 것도 있으며, 논란거리가 되는 단어들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그 질문을 통해 우리의 인식을 다시금 되돌아 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 <미스터 션샤인>이 그린 친일파. 친일파가 아니라 매국노다 ⓒ tvN
같은 맥락으로 우리가 또 하나 곱씹어야하는 단어는 바로 '친일파'이다. 그동안 우리는 일제강점기 시대 나라를 팔아먹은 이들을 가리켜 친일파라고 불러왔다. 그러나 그것은 틀렸다. 친일파는 말 그대로 '일제와 친한 일파'로서 구한말 당시 친러파, 친미파 등과 마찬가지로 중립적인 뉘앙스를 띤다.
따라서 우리가 쓰는 의미로서 친일파를 표기하려면 매국노라고 해야 한다. 그들은 단순히 일제와 친한 세력이 아니라 일제에게 나라와 민족을 팔아먹고 사적인 영달을 누린 이들이기 때문이다. 친일파 이완용이 아니라 매국노 이완용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매국노를 매국노라 부르지 못하고 친일파라고 부르는 이유는 분명하다. 해방이후 반민특위가 실패하면서 아직까지 우리 사회가 매국노를 제대로 척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필요에 의해 우리의 언어세계를 오염시켰고, 우리는 그만큼 역사의 다른 이면에 대해 무지하다.
3.1운동,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역사를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우리의 언어를 돌아봐야 한다. 스토리펀딩 <100년이 묻습니다>를 응원한다.
출처 위안부가 아니라 성노예, 친일파가 아니라 매국노다
'세상에 이럴수가 > 정치·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정미 “토착왜구당 보이콧 16번…국민들 분노 임계점” (0) | 2019.02.27 |
---|---|
미 하원도 ‘종전’ 촉구하는데…“조선일보 추태, 이승만에 따져야” (0) | 2019.02.27 |
왜곡 퍼나르는 수많은 지만원들, 법으로 막을 수 있을까 (0) | 2019.02.20 |
5.18 추가 왜곡 예고한 지만원, 그의 입 막으려면 이것뿐? (0) | 2019.02.20 |
최저임금 못받게 ‘꼼수’…장애인 울리는 작업재활시설 (0) | 2019.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