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 이럴수가/종교와 개독교

보수 개신교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는 까닭은?

보수 개신교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는 까닭은?
신사참배와 반공의 길을 걷던 그들...
[민중의소리] 권종술 기자 | 최종업데이트 2015-11-04 10:25:54


박근혜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둘러싼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일반 국민 여론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지만 박근혜 정부는 물러서지 않고 있다. 어버이연합 등 일부 수구단체들만이 찬성 목소리를 내고 있는 가운데 보수 계신교계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선봉대를 자처하고 나섰다. 이들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 성명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다. 아울러 보수교회 신도들을 중심으로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주장하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유포하는 등 찬성 여론 확산에 적극적이다. 보수 개신교가 여러 비판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정부와 발맞춰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는 까닭은 무엇일까?

1943년 일본 나라(奈良)신궁 참배 후 한국 목회자들이 신궁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CBS-TV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친일과 독재에 협력한 보수 개신교의 과거사 은폐

한국기독교총연합회와 한국교회연합이 주축이 돼 만든 ‘한국기독교역사교과서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10월 13일 성명을 통해 “한국 기독교는 한국사 교과서의 이 같은 실태를 목도하면서 더 이상 한국사 교육을 진보좌파 역사학자와 교사들에게 맡겨 놓을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통합교과서 정책을 지지하며, 이 교과서에는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발전과정을 바로 기술해서 역사문제로 인한 한국사회의 혼란을 종식시키고, 국론을 하나로 모아야합니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한국 기독교는 오늘의 대한민국이 형성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개항 이후 기독교는 서구문명이 이 땅에 전달되는 통로였고, 일제의 암흑기에는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가 되었으며, 해방 후에는 이 땅에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세우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습니다”라고 밝혔다.

보수 개신교의 주장은 크게 2가지다. 우선 우리나라 교과서가 북한을 찬양하고 대한민국을 비하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대한민국 건국에 기여한 기독교 관련 서술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과서가 북한을 찬양하고 대한민국을 비하하고 있다는 식의 주장은 정부의 일방적인 설명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을 뿐 근거는 없다. 아울러 개신교 관련 서술이 부족하다는 주장도 개신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역사를 감안하면 다른 종교에 비해 부족하다고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근거는 부족하다.

보수 개신교가 발표한 성명서에서 개신교에 대해 “일제의 암흑기에는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가 되었으며, 해방 후에는 이 땅에 자유 민주주의 국가를 세우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말한 대목도 사실과 다르다. 우리나라 개신교 가운데 일부가 ‘일제의 암흑기에는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가’ 된 것은 사실이지만 보수 개신교를 비롯한 상당수 교회들은 조선총독부의 신사참배 압력에 무릎을 꿇었다. 단순히 압력에 굴복하는 차원을 넘어 일제의 내선일체 정책과 이에 따른 전쟁 수행에 앞장섰다.

1930년대 후반부터 일제는 일반 개신교인들에게까지 경찰력을 동원해 신사 참배와 국가의식 참여를 강요했다. 그리고 개별 교회는 물론 교단 총회에도 신사참배 결의를 요구했다. 각 노회와 교단들의 신사참배 결의가 이어졌다. 1938년 9월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는 선언문을 통해 “우리들에게 신사는 종교가 아니다. 또 그리스도교의 교리에 반대되지 않는 본의를 이해하여 신사참배는 애국적 국가의식인 것을 자각한다. 그리하여 여기서 신사참배를 솔선여행하고 나아가 국민정신 총동원에 참가함으로써 시국 하에 있어서 후방황국신민으로 하여금 정성을 다할 것을 기함”이라고 밝혔다.

결의에 이어 부회장과 각 노회장들이 총회를 대표하여 즉시 평양신사에 직접 참배했다. 또 “후방황국신민으로 하여금 정성을 다할 것”이라는 결의를 바탕으로 일제의 전쟁에 적극 협력했다. 신도대회를 개최해 소속 신도들과 학생 등 3천여 명이 모여 조선총독부 광장에서 미나미 총독의 격려사를 듣고, 조선신궁을 참배한 뒤에 ‘황군의 무운장구’를 빌기도 했다. 1940년대엔 성금을 모금해 일제에 비행기를 헌납하기도 했다. 장로교는 물론 감리교 등 당시 대부분의 개신교회가 일제에 굴복했다. 주기철 목사 등 일부 개신교인들이 신사참배에 저항했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묻히고 말았다.

이때부터 보수개신교는 친일과 함께 반공의 길을 걸었다. 반공이 자신들의 신념에 맞았기 때문이 아니라 반공이 일본제국주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하나의 방식이기 때문이었다. 일제로부터 비롯된 반공은 이후 해방 공간으로 그대로 이어졌다. 해방이후 권력을 장악한 친일파들이 그러했듯이 보수개신교도 반공을 기치로 내걸고 권력에 협조하며 신분 변신에 나섰다. 일제 강점기엔 일제에 협력했고, 뒤이어 독재정권이 들어선 뒤에는 독재 정권에 협조를 아끼지 않았다. 지금도 악명 높은 우익단체인 서북청년단의 핵심은 대부분 보수 개신교인들이었다. 서북청년단을 비롯한 극우세력에 의해 수많은 국민이 ‘빨갱이’로 몰려 죽임을 당해야만 했다.

1980년 전두환을 위해 개신교계가 연 조찬기도회 모습. ⓒ기타



그들이 섬기는 신은 하나님이 아니라 권력이다

보수 개신교에게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일제에 부역하고, 독재에 협력한 과거에 대한 신분세탁이다. 이는 친일의 후예들인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등 현 지배세력의 이익과도 맞물리는 대목이다. 현재의 역사교과서에서도 개신교의 친일은 거의 기록돼있지 않다. 하지만 역사교과서가 국정화되면 친일의 과거는 지워지고 앞서 보수개신교가 성명에서 밝혔듯 자신들이 “일제의 암흑기에는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가 되었다고 역사는 왜곡될 것이다. 독재 정권에 부역하고, 해방 공간에서 극우적 행태를 보인 과거는 “특별히 해방 후 많은 사람들이 이념의 혼란 가운데서 우왕좌왕할 때, 기독교인들은 이 땅에 신앙의 자유가 보장되는 민주주의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는 분명한 신념을 가지고 대한민국의 건국을 위해서 노력했다”고 미화될 것이다.

잘못은 누구나 할 수 있다. 관건은 그 잘못을 얼마나 반성하느냐, 그러한 과거를 미화하지 않고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느냐다. 독일 개신교의 사례는 이런 면에서 우리나라 보수 개신교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과거 독일의 개신교도 우리 개신교와 비슷한 길을 걸었다. 히틀러에 의해 통합된 독일교회는 1933년 8월 “그리스도는 히틀러를 통해 우리에게 오셨다”는 굴욕적인 성명을 발표했다. 뒤이어 “독일민족을 위한 시대는 히틀러 안에서 성취되었다. 왜냐하면 히틀러를 통해 참 도움이며 구원자이신 하나님 곧 그리스도께서 우리 가운데 그의 능력을 나타내셨기 때문”이라는 말하는 등 독일 개신교는 히틀러를 구원자의 위치로까지 올려 세웠다. 디트리히 본회퍼 등은 이런 독일 개신교의 모습을 비판하며 고백교회 운동을 일으켰다. 바르멘 신학선언을 발표해 당시 독일 교회의 주장을 반박하고 반성했다. 그리고 전쟁이 끝난 뒤 1945년 독일 복음교회 지도자들이 모여서 슈투트가르트 참회 선언을 했다. 1947년에는 독일 교회지도자들이 슈투트가르트 참회 선언에 부족했던 면을 보충하면서 공개적으로 다시 한 번 참회했다.

하지만 보수 개신교를 비롯한 한국의 개신교는 아직 과거에 대해 제대로 된 참회를 하지 못했다. 이번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에서 알 수 있듯이 반성은 커녕 자신들의 과거를 미화하려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 당시 신사참배를 주도했던 목사 중에선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인민군 환영대회’에 참석한 이들도 있었다. 이후 독재 정권이 들어선 이후엔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을 위해 조찬기도회를 열었다. 그들이 과거를 참회하지 않고 여전히 오늘도 권력의 입맛에 맞게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첨병으로 나서는 까닭은 무엇일까? 결국 그들에게 신은 하나님이 아니라, 권력이기 때문이다.


출처  [기자수첩] 보수 개신교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는 까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