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 이럴수가/정치·사회·경제

“유가족이 이렇게 밥 챙겨 먹는 거 안 이상해요?”

“유가족이 이렇게 밥 챙겨 먹는 거 안 이상해요?”
[KBS] 최유경 기자 | 입력 : 2019.05.09 (07:00) | 수정 : 2019.05.09 (07:01)



김미숙 씨에게 어제(8일)는 참 힘든 날이었습니다. 지난해 12월, 스물네 살이었던 아들 김용균 씨가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컨베이어 벨트 사고로 세상을 떠난 뒤 처음 맞는 어버이날이었기 때문입니다. 우리 아들도 여느 집 아이들처럼 어버이날이면 카네이션을 가져다주곤 했는데… 어머니는 그리운 아들 생각에 여러 번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어머니와 함께 아들 김용균 씨를 만나러 갔던 그 날의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자식 잃은 지 얼마나 됐다고…웃으면 사람들이 욕하잖아요”

▲ 故 김용균 씨의 어머니 김미숙 씨가 탄력근로제 폐지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촉구하는 피켓을 들고 사진을 찍고 있다.

오전 9시, 서울 영등포구 비정규노동자 쉼터 '꿀잠'에서 김미숙 씨를 만났습니다. 김 씨는 오는 11일 '비정규직 대행진'을 앞두고 피켓 인증사진을 찍고 있었습니다. 김 씨가 직접 탄력근로제 폐지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피켓에 적었고, '꿀잠' 김소연 운영위원장이 피켓을 든 김 씨를 카메라로 찍었습니다.

그런데 김 씨가 연신 사진을 다시 찍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찍힌 사진을 일일이 확인하고는 마음에 차지 않는다는 건데, 김 씨 자신의 표정 때문이었습니다. 혹시 조금이라도 웃는 모습이 비칠까 봐, 정규직 전환에 대한 간절한 마음이 제대로 담기지 않았을까 봐 걱정됐다고 합니다. 김 씨에게 사진 한 장, 한 장은 모두 아들의 목소리였습니다.

사람들은 사진이나 영상을 통해 김 씨의 웃는 모습을 볼 때마다, 가혹한 질책을 가하곤 했습니다. 김 씨도 누구보다 그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표정부터 말투까지 스스로 검열하고, 가다듬을 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김 씨의 고민이 고스란히 느껴졌습니다.


“아들이 준 카네이션 편지, 평생 못 버리죠”


故 김용균 씨는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 모란공원에 잠들어 있습니다. 김미숙 씨는 아들의 영정사진 앞에 지난 어버이날에 아들이 줬던 카네이션 편지를 내려놓았습니다. 보지 않고도 외울 수 있을 만큼 자주 읽었던 편지입니다. 남들이 보기엔 별 거 아닐지 몰라도, 평생 버리지 못할 소중한 선물입니다.

무뚝뚝하면서도 섬세한 구석이 있었던 외아들이었습니다. 딸 같이 키웠는데, 참 사려 깊고 착했는데… 그런데 글씨 하나는 끝까지 참 못 썼다며, 어머니는 웃었습니다. "제가 원래 글씨를 못 쓰거든요. 절 닮아서 그런지, 노트 사다가 그렇게 연습했는데도 이래요."

▲ ‘세계 산업재해 사망 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 故 김용균 씨 묘역에 추모 의미의 노란 조형물이 세워졌다.

지난달 28일엔 ‘세계 산업재해 사망 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 김용균 씨 묘역에 노란 추모 조형물이 세워졌습니다. 김용균 씨가 자전거를 타고 태안화력발전소로 출근하는 모습을 본떠 조형물로 만든 건데, 노란색은 '안전'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김미숙 씨는 입사 후 아들이 비쩍 말랐을 때 사진을 바탕으로 조형물이 만들어져서 참 아쉽다고 말합니다. "우리 애 아빠를 갖다 넣은 것 같잖아요. 좀 더 통통했으면 좋았을 텐데. 일하면서 힘들다 보니 너무 말라서…" 엄마 눈엔 실물에 한참 못 미치는 모양입니다.


“먹는 것도, 자는 것도 다 애한테 미안해요”

▲ 어버이날에도 김 씨는 아들의 뜻을 기리기 위한 집회에 힘을 보탠다.

모란공원을 떠나, 오후엔 민주노총 집회가 열리는 서울광장으로 이동했습니다. 집회 참석에 앞서 점심을 먹어야 할 텐데, 어떤 메뉴가 좋을지 김미숙 씨에게 물어보자 뜻밖의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유가족이 이렇게 밥 챙겨 먹는 거 안 이상해요?" 사람들이 생각하는 '유족다운' 모습에서 벗어나는 건 아닌지 우려하는 마음에서 나온 질문이었습니다. 어머니는 이제 밥을 챙겨 먹는 것도, 잠을 자는 것도 모두 아들에게 미안하다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만약 우리 어머니, 아버지가 살아 계시고 제가 죽었더라면 두 분이 저한테 너무 얽매이지 말고, 너무 힘들어하지 말고 살길 바랄 텐데. 근데 부모 입장은 그게 아니거든요. 먹고 자고 하는 것 자체가 다 애한테 미안해요. 그렇지만 때로는 그 아픔을 잊을 때가 있어요. 이렇게 발언할 때나 집회에 참석할 때면, 제가 원하는 것, 제가 가진 생각을 잘 이야기해야겠다는 생각 때문에 아픔에만 빠지지는 않아요."

그래서 어머니는 오늘도 거리로 나섰습니다.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고 노동자들이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내는 게, 아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라는 생각에섭니다. 물론 어머니 자신을 위해서도, 이 싸움은 계속돼야 합니다. 아들의 목소리를 대신 낼 때에만, 어머니는 잠시나마 깊은 슬픔을 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취재후] “유가족이 이렇게 밥 챙겨 먹는 거 안 이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