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전두환, 상왕정치 노리고 수천억 비자금 조성”
95년 수사팀 검사들의 증언
“2003년 ‘대선 자금 차떼기’ 사건 때 수사했어야”
김용철 “당시 친인척·측근, 명의신탁 부동산 못찾아”
[한겨레] 고나무 기자 | 등록 : 2013.07.03 21:34 | 수정 : 2013.07.04 13:31
검찰이 1995년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내란·뇌물죄를 수사할 당시, 전두환 전 대통령이 퇴임 뒤에도 권력을 행사하는 ‘상왕정치’를 노리고 이를 위한 비자금을 만들었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또 당시까지는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이 2세들에게 이전되지 않았으며 수사 이후 본격적인 이전이 이뤄졌을 것이라는 당시 수사 검사의 분석도 나왔다.
1995년 ‘12·12 및 5·18 특별수사본부’에서 두 전직 대통령의 비자금 수사를 맡았던 전직 검사는 지난 2일 <한겨레> 기자와 만나 “당시 전 전 대통령이 ‘상왕정치’를 하려 했다는 정황이 있었고 정당을 만드는 비용 등 최소 몇천억원이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전 전 대통령이 (비자금 중에서) 재임 기간 공무원들에게 격려금 등으로 사용한 돈 등은 통치자금으로 이해해 범죄 혐의에서 일부 빼줬지만, 퇴임 이후 상왕정치에 쓰려고 한 돈은 추징 대상으로 봤다”고 밝혔다.
이는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 중 통치자금으로 사용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수천억원가량은 ‘상왕정치용 비자금’으로 숨겨뒀을 것이라는 뜻이다. 기업 등으로부터 받은 돈을 “정치자금으로 다 썼다”고 주장해온 전 전 대통령의 말을 검찰이 거짓으로 봤던 셈이다.
실제로 전 전 대통령의 퇴임 이후 권력 행사 방안을 담은 ‘88년 평화적 정권교체를 위한 준비 연구’라는 문건이 한 신문사 사장의 지시로 1984년 작성돼 청와대에 전달된 사실을 <한겨레>가 1988년 보도한 바 있다. 전 전 대통령이 퇴임 직전인 1987년 11~12월에도 기업인에게서 뇌물을 받은 점도 ‘상왕정치’가 계획된 정황을 뒷받침한다. 익명을 요구한 이 전직 검사는 “당시 상왕정치용 비자금 가능성은 관련 진술이 명확히 나오지 않아 공소장에 반영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 전직 검사는 “검찰이 의지가 있었다면 2003년 ‘대선자금 차떼기’ 수사 때 전 전 대통령 비자금과 당시 대선자금의 연관성을 수사해 금융실명제 이후 전 전 대통령 비자금의 실체를 수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이 3당 합당으로 집권한 김영삼 전 대통령을 거쳐 2002년 한나라당의 정치자금과 연결됐을 가능성이 높고, 1993년 8월 금융실명제 이후 ‘세탁’된 전 전 대통령 비자금의 일부가 포착될 수도 있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전직 검사는 1990년대 말 검찰에서 퇴직했다.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특별수사본부에서 비자금 수사 실무를 맡았던 김용철(55) 광주시교육청 감사관은 지난달 25일 <한겨레> 기자와 만나 “당시 전 전 대통령의 친인척·측근 300여명의 동산·부동산 자산을 모두 조사했으나 전 전 대통령의 명의신탁 부동산을 찾지 못했다. 전 전 대통령뿐 아니라 친인척·측근이 소유한 부동산도 거의 없었다. 그래서 1995년 수사 시점에서는 아직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이 2세들에게 이전되지 않았다고 봤다. 당시 이순자씨가 비자금을 채권 현물로 자택 등에 쌓아두고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당시 검찰은 전 전 대통령 부부의 자택 침실과 백담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검토했으나 실행하지 않았다.
출처 : [단독] “전두환, 상왕정치 노리고 수천억 비자금 조성”
95년 수사팀 검사들의 증언
“2003년 ‘대선 자금 차떼기’ 사건 때 수사했어야”
김용철 “당시 친인척·측근, 명의신탁 부동산 못찾아”
[한겨레] 고나무 기자 | 등록 : 2013.07.03 21:34 | 수정 : 2013.07.04 13:31
▲ 전두환 전 대통령 |
1995년 ‘12·12 및 5·18 특별수사본부’에서 두 전직 대통령의 비자금 수사를 맡았던 전직 검사는 지난 2일 <한겨레> 기자와 만나 “당시 전 전 대통령이 ‘상왕정치’를 하려 했다는 정황이 있었고 정당을 만드는 비용 등 최소 몇천억원이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전 전 대통령이 (비자금 중에서) 재임 기간 공무원들에게 격려금 등으로 사용한 돈 등은 통치자금으로 이해해 범죄 혐의에서 일부 빼줬지만, 퇴임 이후 상왕정치에 쓰려고 한 돈은 추징 대상으로 봤다”고 밝혔다.
이는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 중 통치자금으로 사용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수천억원가량은 ‘상왕정치용 비자금’으로 숨겨뒀을 것이라는 뜻이다. 기업 등으로부터 받은 돈을 “정치자금으로 다 썼다”고 주장해온 전 전 대통령의 말을 검찰이 거짓으로 봤던 셈이다.
실제로 전 전 대통령의 퇴임 이후 권력 행사 방안을 담은 ‘88년 평화적 정권교체를 위한 준비 연구’라는 문건이 한 신문사 사장의 지시로 1984년 작성돼 청와대에 전달된 사실을 <한겨레>가 1988년 보도한 바 있다. 전 전 대통령이 퇴임 직전인 1987년 11~12월에도 기업인에게서 뇌물을 받은 점도 ‘상왕정치’가 계획된 정황을 뒷받침한다. 익명을 요구한 이 전직 검사는 “당시 상왕정치용 비자금 가능성은 관련 진술이 명확히 나오지 않아 공소장에 반영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 전직 검사는 “검찰이 의지가 있었다면 2003년 ‘대선자금 차떼기’ 수사 때 전 전 대통령 비자금과 당시 대선자금의 연관성을 수사해 금융실명제 이후 전 전 대통령 비자금의 실체를 수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이 3당 합당으로 집권한 김영삼 전 대통령을 거쳐 2002년 한나라당의 정치자금과 연결됐을 가능성이 높고, 1993년 8월 금융실명제 이후 ‘세탁’된 전 전 대통령 비자금의 일부가 포착될 수도 있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전직 검사는 1990년대 말 검찰에서 퇴직했다.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특별수사본부에서 비자금 수사 실무를 맡았던 김용철(55) 광주시교육청 감사관은 지난달 25일 <한겨레> 기자와 만나 “당시 전 전 대통령의 친인척·측근 300여명의 동산·부동산 자산을 모두 조사했으나 전 전 대통령의 명의신탁 부동산을 찾지 못했다. 전 전 대통령뿐 아니라 친인척·측근이 소유한 부동산도 거의 없었다. 그래서 1995년 수사 시점에서는 아직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이 2세들에게 이전되지 않았다고 봤다. 당시 이순자씨가 비자금을 채권 현물로 자택 등에 쌓아두고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당시 검찰은 전 전 대통령 부부의 자택 침실과 백담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검토했으나 실행하지 않았다.
출처 : [단독] “전두환, 상왕정치 노리고 수천억 비자금 조성”
'세상에 이럴수가 > 정치·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대구과학관 ‘무늬만 공개채용’ (0) | 2013.07.04 |
---|---|
측근들의 강한 충성심으로 ‘전두환 추징’ 어려웠다 (0) | 2013.07.04 |
링거 꽂고 출석했다 걸어서 나온 김하주 이사장…‘법원의 기적’? (0) | 2013.07.04 |
전두환, 김일성에게 보낸 친서에서 “주석님께서는 민족의 통일을 위해…” (0) | 2013.06.25 |
박근혜-김정일 2002년 대화록 공개하면 어찌하려고 (0) | 201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