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 이럴수가/정치·사회·경제

정의연이 정정보도·손배 신청한 언론들에게 당부한다

정의연이 정정보도·손배 신청한 언론들에게 당부한다
‘대구’ 중심 새 위안부 단체도 같은 기준으로 검증하라
[고발뉴스닷컴] 하성태 기자 | 승인 : 2020.06.16 14:41:38 | 수정 : 2020.06.16 15:45:35


“‘일감몰아주기’란 기업들이 자회사에 일감을 몰아줌으로써 대주주의 사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일감몰아주기’는 계열사 내부거래가 일정비율을 넘으면 과세대상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위에서 제시한 내부 소식지 디자인 수원신문사 발주비용과 ‘김복동 장학금’ 사업 내용이 ‘재벌회사의 일감몰아주기’에 비유될 수 없다는 사실은 상식 있는 시민이라면 판단 가능한 일이라 봅니다.”

지난 10일 정의기억연대가 <중앙일보> 10일자 <“‘정의연은 운동권 물주’...재벌 뺨치는 그들만의 일감 몰아주기”> 기사를 반박하며 내놓은 설명 자료 중 일부다. 정의연은 해당 기사를 “왜곡된 기사 내용과 악의적 기사제목으로 정의연에 대한 명백한 명예훼손”이라 규정했다.

▲ <이미지 출처=중앙일보 홈페이지 캡처>

정의연에 따르면, <중앙일보>는 해당 기사에서 “내부 소식지 디자인”, “윤미향(전 정의연 이사장)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남편 회사(수원시민신문)에 발주”와 “‘김복동 장학금’의 상당액”을 “진보계열 시민단체 활동가 자녀”가 받았다는 두 가지 사례를 “재벌의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에 비유하면서, 진중권씨의 페이스북 내용을 인용해 정의연을 “운동권의 물주”로 제시했다.

하지만 정의연의 반박은 명확했다. 매년 활동 보고를 위해 소식지 형태의 신문을 발간하는 정의연은 2019년 신문 디자인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4개 업체에 견적을 의뢰했고, 당시 최저금액(3백7십여만 원)을 제시한 수원시민신문사가 신문 편집·디자인을 맡게 됐다.

이 사업비는 2019년 정의연 총 사업비용의 0.26%에 해당했다. 이 같은 업체 선정 과정과 사업비를 두고 (윤미향 의원 남편 회사라는 이유만으로) ‘재벌회사의 일감몰아주기’에 비유하며 비판하는 <중앙일보>는 과연 자회나 관계 회사와의 회계 관계를 공개할 수 있겠는가. ‘김복동 장학금’의 경우도 별 다를 바 없었다. “(김 할머니의 유지로) 장례를 치르고 남은 비용을 장례위원회와 심의위원회 논의를 거쳐 진행된 일시 사업”이란 설명이었다.

“11개 시민사회단체 후원금으로 2,200만 원(2020년 2월 3일 기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자녀(25명)에게 각 200만 원씩 김복동 장학금으로 5,000만 원(2020년 4월 17일 수요시위 시상식 진행) 등이 전달되었으며 해당 내용은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시민장 기록집 ‘나는 희망을 잡고 살아’>(정의연 홈페이지 게시)에 투명하게 공개한 바 있습니다.”


언론중재위에 허위왜곡 보도 정정 및 배상 신청한 정의연

해당 기사에 대한 정의연의 해명을 자세히 언급한 이유는 어렵지 않다. <중앙일보>의 해당 기사는 그간 정의연의 사업 내역이나 회계 투명성에 대한 언론의 집요한 ‘검증’이 얼마나 ‘엉터리’인가 하는 일례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금만 더 취재하거나 의도적인 색안경을 벗으면 절대 재벌과 비유할 수 없는.

이른바 ‘정의연 사태’ 국면에서 정의연은 이와 같은 설명자료를 무수히 배포했다. 하루에 한 번 혹은 하루걸러 한 번 꼴이었다. 반면 무수한 ‘단독’, ‘의혹’ 기사를 토해낸 언론들은 위와 같은 정의연의 구체적인 해명과 설명 자료들은 무시하기 일쑤였다. 정정·삭제는 요원한 일이었다.

▲ 서울서부지검이 서울 마포구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사무실 압수수색에 들어간 지난 5월 20일 오후 취재진이 사무실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도리어 <중앙일보>와 같이 진보 시민사회 전체를 ‘재벌회사의 일감몰아주기’ 운운하며 폄훼하기에 바빴다. 故 손영미 ‘평화의 우리집’ 소장의 죽음 앞에서도 아랑곳 없었다. 곽상도 미친통곡당 의원의 의혹 제기에 날개를 달아준 것 역시 ‘조중동’으로 대표되는 (보수) 언론들이었다. 정의연이 결국 이 같은 언론을 향해 팔을 걷고 나섰다.

“정의기억연대는 악의적이고 왜곡된 각종 허위 보도들이 쏟아지는 분위기에 편승해, 사실관계를 정확히 확인하지 않거나, 의도적으로 배제한 일부 언론의 허위보도로 심각한 명예훼손을 입고 있습니다. 그동안 각종 입장 자료를 통해 사실관계를 설명하고 허위보도 및 왜곡 보도에 대한 정정요청을 드렸음에도 해당 언론사는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정의기억연대는 무책임한 언론보도에 경종을 울리고 한국 언론이 보다 발전하기를 바라는 심정으로 우선 조선일보사 등 7개의 언론사에 대한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구하는 조정을 언론중재위에 신청하게 되었음을 알립니다. 정의기억연대는 명백한 허위사실 및 악의적 명예훼손 기사에 관해서는 모두 그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


15일 오후 정의연이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언론 조정 신청서를 접수”했다며 내놓은 입장문 중 일부다. 일부에선 언론중재위 신청이 약한 것 아니냐는 반응도 적지 않다.

검찰의 막강한 권한 아래, 자신에게 불리한 보도에 거액의 민사 소송까지 마다 않는 일부 보수야당 정치인나 정파적 요구나 이익에 따라 고소고발을 남발하는 시민단체가 활개 치는 형국 아니겠는가.


그리고, 이용수 할머니에게 ‘허락’ 받았다는 새 위안부 단체의 등장

하지만 정의연의 입장도 납득할 만하다. 기울어진 언론 지형임을 감안하면, 정의연이 회계처리 등 대표적인 9건의 기사를 허위로 지목하며 조정 신청을 낸 것조차 용기를 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입증하듯, 정의연의 조정 신청 소식을 보도한 언론은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 한 달 넘도록 무수한 매체들이 검증이란 이름 아래 의혹을 단독으로 둔갑시키고, 그 의혹 보도가 꼬리에 꼬리를 물며, 받아쓰기 보도가 양산됐던 것을 감안하면 이들 언론의 선택적 보도가 어느 정도인지 아찔해 질 정도다. 정의연의 반론이 묵살됐던 것을 포함해서.

그리고, 정의연이 조정 신청을 한 직후인 16일 오전 이용수 할머니가 거주하는 대구에서 새로운 위안부 관련 단체가 출범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한국일보>의 <대구서 위안부 할머니 당사자중심 시민단체 ‘아이캔스피크’ 출범한다> 단독 기사였다.

▲ <이미지 출처=한국일보 홈페이지 캡처>

“2015년 대구여상 소공원에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주도한 시민운동가(58)에 따르면 아이캔스피크는 위안부 할머니와 관련된 세미나와 강연을 전문적으로 하게 된다. 이 단체는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의 후원금을 받아 운영하되, 외부에 회계를 맡겨 투명성을 확보하고 강연을 통해 생기는 수익은 전액 할머니에게 드릴 계획이다.

이 단체는 정의기억연대, 정신대할머니와 함께 하는 시민모임 등 기존 위안부 관련 단체와는 달리 할머니를 위한 활동에만 집중할 계획이다. 정의연과 시민모임이 활동가 중심의 단체라면 아이캔스피크는 피해 당사자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것이다.”


‘이용수 할머니에게 허락을 받고 단체를 추진’ 중이라는 이 시민운동가의 이름은 기사 내에서 익명 처리됐다. 그간 이용수 할머니는 대구 지역 시민단체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일보>는 대구를 중심으로 출범하는 이 단체에 대해 “수요집회 방식 변경과 한국과 일본간 청소년 교류를 통한 역사교육 등을 주장한 이 할머니가 아이캔스피크를 중심으로 활동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재벌의 일감몰아주기’ 운운하며 정의연과 진보 시민단체를 몰아 붙였던, 정의연이 조정 신청을 한 언론들에게 당부한다. 부디, 기존 위안부 운동과는 다른 길을 가겠다는 이 위안부 단체 역시 정의연과 같은 기준으로 그 의도와 향후 계획, 구성원들에 대해 철저히 검증해 주시라. 정의연과 위안부 운동의 30년 역사를 준엄하게 꾸짖던 바로 그 자세로 말이다.


출처  정의연이 정정보도·손배 신청한 언론들에게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