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 4대강 준설 지점에서 재첩 대량 폐사
시민단체 4대강 조사위 잠수 조사, 남한강 강천보 상류 5㎞ 상류 강바닥서 떼죽음
어민들 "남한강 4대강 사업 다른 구간서도 발생", 누치 영양실조 현상도
[한겨레 환경생태 전문 웹진 - 물바람숲]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김기성 기자 | 2013. 03. 27
4대강 사업을 하면서 모래를 쳐낸 남한강 구간에서 민물조개인 재첩이 대량으로 폐사하고 있다는 환경단체의 현장 조사결과가 나왔다.
시민단체가 꾸린 ‘4대강 조사위원회’와 ‘4대강 복원 범국민대책위원회’는 26일 남한강 바닥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 재첩이 대량 폐사한 사실을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죽은 조개가 발견된 곳은 강천보 상류 약 5㎞ 지점으로 행정구역은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도리에 속하는 곳이다.
조사에 참여한 수중촬영 전문가 윤순태씨는 “물속은 매우 탁했고 펄은 5∼8㎝ 더께로 쌓여 있었다. 개흙 층을 걷어내니 죽은 재첩들이 수북이 쌓여 있었다.”라고 전했다.
박창재 환경운동연합 국토생명팀 처장은 “이번에 조개 폐사가 발견된 곳은 4대강 사업 때 모래를 준설한 곳으로 이포보와 여주보 등 다른 준설 구간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준설로 모래 속에 깃들어 살던 생물들이 치명적인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조사단은 조개가 죽은 강바닥이 모래가 아닌 미세한 입자로 이뤄진 펄에 가까운 상태였고, 시료로 채취한 하상 퇴적물에서 썩는 악취가 났으며, 하상 퇴적층 아래에 많은 수의 재첩이 죽어 껍데기를 벌린 상태였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폐사 원인이 보 건설로 인한 물의 정체와 모래 준설로 서식지가 파괴된 때문으로 보고 있다. 민간정책연구기관인 국토환경연구소 이현정 박사는 보도자료에서 “4대강 사업으로 강물이 정체하면서 오염물질이 흘러내려 가거나 정화되지 못하고 강바닥에 쌓이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남한강 어민들의 말을 들으면 재첩보다 생명력이 강한 다슬기도 4대강 사업 이전에 비해 채취량이 줄었고, 어획량도 약 3분의 1 정도로 감소했으며 먹이를 제대로 먹지 못해 머리만 크고 몸집이 마른 누치 등이 잡히고 있다고 주장했다.
남한강에서 자망으로 쏘가리 등의 어업을 하는 이정근(경기도 강촌면 가야리·55)씨는 “올 들어 그물에 재첩 껍데기가 많으면 20~30개씩 그물에 딸려 올라오는 현상이 나타났다. 남한강 다른 곳에서도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얘기를 다른 어부로부터 들었다.”라고 말했다.
4대강조사위원회는 보도자료에서 “이번 사건은 지난해 금강과 낙동강에서 벌어진 물고기 떼죽음 사태의 연장선 위에 있다. 회복하기 힘든 생태계 파괴가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더 이상의 환경파괴를 막기 위해 하천 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수문개방 등의 조처가 필요하다.”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지형특성상 물의 흐름이 정체돼 자연적으로 펄이 생성된 구간이다. 특히 재첩은 충주댐 건설 이후 한강 본류에서 사라지고 현재 일부 지역에서 소규모로 서식하기 때문에 재첩의 폐사원인을 4대강 사업 탓으로 돌리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라고 해명했다.
출처 : 남한강 4대강 준설 지점에서 재첩 대량 폐사
시민단체 4대강 조사위 잠수 조사, 남한강 강천보 상류 5㎞ 상류 강바닥서 떼죽음
어민들 "남한강 4대강 사업 다른 구간서도 발생", 누치 영양실조 현상도
[한겨레 환경생태 전문 웹진 - 물바람숲]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김기성 기자 | 2013. 03. 27
▲ 모래는 사라지고 펄만 남은 남한강 강바닥에서 재첩이 대량으로 죽은 채 발견됐다. |
4대강 사업을 하면서 모래를 쳐낸 남한강 구간에서 민물조개인 재첩이 대량으로 폐사하고 있다는 환경단체의 현장 조사결과가 나왔다.
시민단체가 꾸린 ‘4대강 조사위원회’와 ‘4대강 복원 범국민대책위원회’는 26일 남한강 바닥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 재첩이 대량 폐사한 사실을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죽은 조개가 발견된 곳은 강천보 상류 약 5㎞ 지점으로 행정구역은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도리에 속하는 곳이다.
▲ 죽은 재첩 껍질이 대거 발견된 지점 |
조사에 참여한 수중촬영 전문가 윤순태씨는 “물속은 매우 탁했고 펄은 5∼8㎝ 더께로 쌓여 있었다. 개흙 층을 걷어내니 죽은 재첩들이 수북이 쌓여 있었다.”라고 전했다.
박창재 환경운동연합 국토생명팀 처장은 “이번에 조개 폐사가 발견된 곳은 4대강 사업 때 모래를 준설한 곳으로 이포보와 여주보 등 다른 준설 구간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준설로 모래 속에 깃들어 살던 생물들이 치명적인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조사단은 조개가 죽은 강바닥이 모래가 아닌 미세한 입자로 이뤄진 펄에 가까운 상태였고, 시료로 채취한 하상 퇴적물에서 썩는 악취가 났으며, 하상 퇴적층 아래에 많은 수의 재첩이 죽어 껍데기를 벌린 상태였다고 밝혔다.
▲ 남한강 강바닥에서 죽은 채 발견된 재첩 |
조사단은 폐사 원인이 보 건설로 인한 물의 정체와 모래 준설로 서식지가 파괴된 때문으로 보고 있다. 민간정책연구기관인 국토환경연구소 이현정 박사는 보도자료에서 “4대강 사업으로 강물이 정체하면서 오염물질이 흘러내려 가거나 정화되지 못하고 강바닥에 쌓이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남한강 어민들의 말을 들으면 재첩보다 생명력이 강한 다슬기도 4대강 사업 이전에 비해 채취량이 줄었고, 어획량도 약 3분의 1 정도로 감소했으며 먹이를 제대로 먹지 못해 머리만 크고 몸집이 마른 누치 등이 잡히고 있다고 주장했다.
남한강에서 자망으로 쏘가리 등의 어업을 하는 이정근(경기도 강촌면 가야리·55)씨는 “올 들어 그물에 재첩 껍데기가 많으면 20~30개씩 그물에 딸려 올라오는 현상이 나타났다. 남한강 다른 곳에서도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얘기를 다른 어부로부터 들었다.”라고 말했다.
▲ 바위 위에 펄이 두텁게 쌓인 남한강 4대강 준설 지점의 모습. |
▲ 죽은 재첩 껍데기 |
4대강조사위원회는 보도자료에서 “이번 사건은 지난해 금강과 낙동강에서 벌어진 물고기 떼죽음 사태의 연장선 위에 있다. 회복하기 힘든 생태계 파괴가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더 이상의 환경파괴를 막기 위해 하천 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수문개방 등의 조처가 필요하다.”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지형특성상 물의 흐름이 정체돼 자연적으로 펄이 생성된 구간이다. 특히 재첩은 충주댐 건설 이후 한강 본류에서 사라지고 현재 일부 지역에서 소규모로 서식하기 때문에 재첩의 폐사원인을 4대강 사업 탓으로 돌리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라고 해명했다.
출처 : 남한강 4대강 준설 지점에서 재첩 대량 폐사
'세상에 이럴수가 > 死大江'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행침식 때문에 농경지 100여 평 떠내려갔다" (0) | 2013.03.28 |
---|---|
역행침식으로 금강 지천 사면 '와르르' (0) | 2013.03.28 |
무너지는 금강 지천, 역행침식의 ‘역습’ (0) | 2013.03.27 |
'내륙습지 1호' 담양습지 4대강 사업 후유증 (0) | 2013.02.09 |
금강지천 호안블록 100여m 붕괴…“4대강 사업 따른 역행침식 탓” (0) | 201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