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밋빛 공약에서 저주의 숫자로 변신한 ‘7·4·7’
7 → 유로존 국채 수익률 7%
4 → 물가상승률 4%
7 → 청년실업률 7%
[하니Only] 권은중 기자 | 등록 : 20120109 11:23 | 수정 : 20120109 15:07
이명박정부 경제정책(MB노믹스)의 상징 ‘7·4·7’이 올해 한국 경제가 마주치고 싶지 않은 ‘저주의 숫자’로 바뀌었다.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의 공약을 총괄했던 강만수 산업금융지주 회장의 작품 747공약(연성장률 7%, 국민소득 4만달러, 세계7대 경제대국)이 허망하게 막을 내렸다는 비판은 이제 더 이상 새삼스럽지도 않다. 지난해 한국 경제의 성장률은 7%의 절반 수준인 3.8%에 불과했고 국민소득은 여전히 2만달러대에서 제자리걸음이다. 7대 경제 대국도 이 정부 임기 안에는 무망해 보인다.
헛된 공약의 상징처럼 굳어진 747은 한발 더 나아가 한국 경제가 반드시 피해야할 숫자의 조합으로 전락했다.
유로존 국채 수익률 7%
첫 숫자 7은 세계 경제 위기를 촉발한 유럽 국가들의 국채수익률 7%를 일컫는다. 재정 위기국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7%를 웃돌 경우 이 채권은 부도 위험이 높은 ‘정크본드’로 여겨진다. 국채 수익률이 7%를 넘었던 포르투갈, 그리스, 아일랜드 등이 구제금융을 신청한 바 있는 경험 때문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경제가 올해 반드시 피해야하는 위험 숫자다.
유럽 위기의 핵으로 꼽히는 이탈리아의 국채 수익률은 최근들어 7%에 육박하고 있다. 이탈리아마저 구제금융을 신청하고 국가부도 사태에 이르면 유럽의 경제 불안은 더 커질 게 분명하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지역)에 부정적인 미국과 영국의 투자가들 사이에선 이탈리아의 재정위기가 유로존의 붕괴로 이어질 것이란 예상까지 나오고 있다.
유럽중앙은행은 이탈리아 등 유로존 국가들의 국채수익률을 끌어내리기 위해 천문학적인 돈을 풀고 있다. 하지만 유럽 각국은 이 돈으로 이탈리아 국채를 매입하기보다는, 1% 미만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중앙은행에 돈을 재예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탈리아 국채의 만기가 올해 2~4월에 집중돼 있다는 점도 긴장감을 높이는 요인이다.
유로존의 붕괴는 우리 경제에 직격탄이 될 것이다. 유럽 경제가 위기에 빠져든 지난해말부터 이미 감지된 바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무역수지 흑자는 250억 달러로 2010년 330억 달러에 견줘 23% 줄었다. 감소 원인은 유럽에 있었다. 지난해 지역별 수출증가율을 보면, 미국(543억1600만 달러) 13.1%, 일본(386억1800만 달러) 41.3%, 아세안(695억2900만 달러) 35.4%, 중국(1298억1200만 달러) 15.7%, 중동(315억8800만 달러) 17.3%였지만, 유럽 지역에 대한 수출은 542억5400만 달러로 5.5% 증가에 그쳤다. 유럽 위기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지난해 하반기만 놓고 보면 오히려 감소세였다.
유로존 침체의 파장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우리나라 무역흑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에 대한 수출 감소를 의미하기도 한다. 우리나라가 중국에 수출하는 품목의 75%는 부품 등 중간재이며, 중국은 이를 가져다 완제품을 생산해 유럽 등에 수출한다. 이처럼 유럽의 위기는 중국의 위기이기도 한다는 점에서 우리 경제에는 이중 타격이다.
물가상승률 4%
가운데 숫자 4는 물가상승률 4%를 뜻한다. 지난해 물가지수 집계 방식을 바꾸는 정부의 ‘꼼수’에도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정부 목표 범위 상한선인 4.0%에 이르렀다. 기존 집계방식으로 하면 4.4% 수준으로 추정된다.
2009년 2.8%였던 물가상승률은 2010년 3.0%였다가 지난해 4.0%로 꾸준히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경기 회복을 위해 2%대의 저금리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원유가 급등 등에 따라 생필품 가격이 치솟았기 때문이었다.
물가 상승은 원유가 등 외부 변수에서 비롯된 바 컷지만, 정부 정책의 실패라는 측면을 무시하기 어려웠다. 정부는 지난해까지 경제의 화두를 오직 성장에만 집중했다. 금리와 환율 등 정책 목표도 성장에만 맞춰쳤다. 그런데도 성장률은 결국 3.8%에 머물렀고 물가는 물가대로 급등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의 책임론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1%포인트라는 추가적인 물가 성장률에 이토록 민감한 것은 물가 그 자체보다 목까지 차오른 가계부채에 대한 압박감 때문이다. 지난해 가계부채는 900조원까지 뛰어올랐다. 금융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2010년말 846조9000억원보다 6.9% 늘어난 수준이다. 실질소득 증가율이 마이너스인 상황에서 가계대출 금리가 올라 소비가 위축된 상황에서 불거진 물가 상승이어서 서민들이 체감 물가는 어느 때보다 높다.
올해 물가상승률이 4%선을 넘어설 경우 정책 당국에 대한 서민들의 분노는 폭발 임계점에 이를 것이란 관측까지 나온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일 신년 특별연설에서 “올해는 어떤 일이 있어도 물가를 3%대 초반에서 잡겠다”고 공언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풀이할 수 있다. 문제는, 대통령의 공언이 지켜질 만큼 외부 상황이 낙관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이란에 대한 미국의 제재에 따른 파장으로 연초부터 국제 유가가 춤을 추고 있는 게 한 예다.
청년실업률 7%
마지막 저주의 숫자 7은 청년실업률 7%를 뜻한다. 통계청의 고용 통계를 보면, 지난해 11월 기준 우리나라 청년 실업률은 6.8%였다. 전체 실업률 3.5%의 두배 수준이다. 경기 침체로 인한 고용사정이 날로 악화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청년실업률은 올해 더 늘어날 전망이다.
취업을 했지만 전직을 희망하거나 아예 취업을 포기한 취업 단념자까지 포함할 경우 청년 실업률은 22%에 이른다는 현대경제연구원의 분석까지 나와 있다. 청년층의 취업난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뜻이다.
이런 취업난은 정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주춤하던 20~30대의 투표율을 대폭 끌어올리고 있다. 20대 투표율은 2008년 총선에서 28.9%였지만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41.5%로 뛰었다. 높아진 투표율은 야당 지지 쪽으로 가고 있다. 지난해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는 20대의 69.3%(출구조사)가 야당 후보였던 박원순 시장에게 표를 던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숫자 7은 경제난을 빚은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에게 특히 피해야할 숫자로 부각된 셈이다.
출처 : 장밋빛 공약에서 저주의 숫자로 변신한 ‘7·4·7’
7 → 유로존 국채 수익률 7%
4 → 물가상승률 4%
7 → 청년실업률 7%
[하니Only] 권은중 기자 | 등록 : 20120109 11:23 | 수정 : 20120109 15:07
이명박정부 경제정책(MB노믹스)의 상징 ‘7·4·7’이 올해 한국 경제가 마주치고 싶지 않은 ‘저주의 숫자’로 바뀌었다.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의 공약을 총괄했던 강만수 산업금융지주 회장의 작품 747공약(연성장률 7%, 국민소득 4만달러, 세계7대 경제대국)이 허망하게 막을 내렸다는 비판은 이제 더 이상 새삼스럽지도 않다. 지난해 한국 경제의 성장률은 7%의 절반 수준인 3.8%에 불과했고 국민소득은 여전히 2만달러대에서 제자리걸음이다. 7대 경제 대국도 이 정부 임기 안에는 무망해 보인다.
헛된 공약의 상징처럼 굳어진 747은 한발 더 나아가 한국 경제가 반드시 피해야할 숫자의 조합으로 전락했다.
유로존 국채 수익률 7%
첫 숫자 7은 세계 경제 위기를 촉발한 유럽 국가들의 국채수익률 7%를 일컫는다. 재정 위기국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7%를 웃돌 경우 이 채권은 부도 위험이 높은 ‘정크본드’로 여겨진다. 국채 수익률이 7%를 넘었던 포르투갈, 그리스, 아일랜드 등이 구제금융을 신청한 바 있는 경험 때문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경제가 올해 반드시 피해야하는 위험 숫자다.
유럽 위기의 핵으로 꼽히는 이탈리아의 국채 수익률은 최근들어 7%에 육박하고 있다. 이탈리아마저 구제금융을 신청하고 국가부도 사태에 이르면 유럽의 경제 불안은 더 커질 게 분명하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지역)에 부정적인 미국과 영국의 투자가들 사이에선 이탈리아의 재정위기가 유로존의 붕괴로 이어질 것이란 예상까지 나오고 있다.
유럽중앙은행은 이탈리아 등 유로존 국가들의 국채수익률을 끌어내리기 위해 천문학적인 돈을 풀고 있다. 하지만 유럽 각국은 이 돈으로 이탈리아 국채를 매입하기보다는, 1% 미만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중앙은행에 돈을 재예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탈리아 국채의 만기가 올해 2~4월에 집중돼 있다는 점도 긴장감을 높이는 요인이다.
유로존의 붕괴는 우리 경제에 직격탄이 될 것이다. 유럽 경제가 위기에 빠져든 지난해말부터 이미 감지된 바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무역수지 흑자는 250억 달러로 2010년 330억 달러에 견줘 23% 줄었다. 감소 원인은 유럽에 있었다. 지난해 지역별 수출증가율을 보면, 미국(543억1600만 달러) 13.1%, 일본(386억1800만 달러) 41.3%, 아세안(695억2900만 달러) 35.4%, 중국(1298억1200만 달러) 15.7%, 중동(315억8800만 달러) 17.3%였지만, 유럽 지역에 대한 수출은 542억5400만 달러로 5.5% 증가에 그쳤다. 유럽 위기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지난해 하반기만 놓고 보면 오히려 감소세였다.
유로존 침체의 파장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우리나라 무역흑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에 대한 수출 감소를 의미하기도 한다. 우리나라가 중국에 수출하는 품목의 75%는 부품 등 중간재이며, 중국은 이를 가져다 완제품을 생산해 유럽 등에 수출한다. 이처럼 유럽의 위기는 중국의 위기이기도 한다는 점에서 우리 경제에는 이중 타격이다.
물가상승률 4%
가운데 숫자 4는 물가상승률 4%를 뜻한다. 지난해 물가지수 집계 방식을 바꾸는 정부의 ‘꼼수’에도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정부 목표 범위 상한선인 4.0%에 이르렀다. 기존 집계방식으로 하면 4.4% 수준으로 추정된다.
2009년 2.8%였던 물가상승률은 2010년 3.0%였다가 지난해 4.0%로 꾸준히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경기 회복을 위해 2%대의 저금리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원유가 급등 등에 따라 생필품 가격이 치솟았기 때문이었다.
물가 상승은 원유가 등 외부 변수에서 비롯된 바 컷지만, 정부 정책의 실패라는 측면을 무시하기 어려웠다. 정부는 지난해까지 경제의 화두를 오직 성장에만 집중했다. 금리와 환율 등 정책 목표도 성장에만 맞춰쳤다. 그런데도 성장률은 결국 3.8%에 머물렀고 물가는 물가대로 급등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의 책임론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1%포인트라는 추가적인 물가 성장률에 이토록 민감한 것은 물가 그 자체보다 목까지 차오른 가계부채에 대한 압박감 때문이다. 지난해 가계부채는 900조원까지 뛰어올랐다. 금융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2010년말 846조9000억원보다 6.9% 늘어난 수준이다. 실질소득 증가율이 마이너스인 상황에서 가계대출 금리가 올라 소비가 위축된 상황에서 불거진 물가 상승이어서 서민들이 체감 물가는 어느 때보다 높다.
올해 물가상승률이 4%선을 넘어설 경우 정책 당국에 대한 서민들의 분노는 폭발 임계점에 이를 것이란 관측까지 나온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일 신년 특별연설에서 “올해는 어떤 일이 있어도 물가를 3%대 초반에서 잡겠다”고 공언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풀이할 수 있다. 문제는, 대통령의 공언이 지켜질 만큼 외부 상황이 낙관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이란에 대한 미국의 제재에 따른 파장으로 연초부터 국제 유가가 춤을 추고 있는 게 한 예다.
청년실업률 7%
마지막 저주의 숫자 7은 청년실업률 7%를 뜻한다. 통계청의 고용 통계를 보면, 지난해 11월 기준 우리나라 청년 실업률은 6.8%였다. 전체 실업률 3.5%의 두배 수준이다. 경기 침체로 인한 고용사정이 날로 악화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청년실업률은 올해 더 늘어날 전망이다.
취업을 했지만 전직을 희망하거나 아예 취업을 포기한 취업 단념자까지 포함할 경우 청년 실업률은 22%에 이른다는 현대경제연구원의 분석까지 나와 있다. 청년층의 취업난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뜻이다.
이런 취업난은 정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주춤하던 20~30대의 투표율을 대폭 끌어올리고 있다. 20대 투표율은 2008년 총선에서 28.9%였지만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41.5%로 뛰었다. 높아진 투표율은 야당 지지 쪽으로 가고 있다. 지난해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는 20대의 69.3%(출구조사)가 야당 후보였던 박원순 시장에게 표를 던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숫자 7은 경제난을 빚은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에게 특히 피해야할 숫자로 부각된 셈이다.
출처 : 장밋빛 공약에서 저주의 숫자로 변신한 ‘7·4·7’
'세상에 이럴수가 > 오사카산 쥐새끼'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권력 붕괴 시작됐다 (0) | 2012.01.18 |
---|---|
MB 국빈 방문? 중국언론은 싸늘했다 (0) | 2012.01.15 |
보아라! MB의 위대한 업적을... (0) | 2012.01.13 |
청와대가 <김윤옥의 한식 이야기> 출판사 협박했나 (0) | 2012.01.07 |
한식보다 여사님이 먼저 (0) | 2012.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