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 이럴수가/박정희·박근혜

[긴급점검 정수장학회] 진실위 “박정희 지시로 부일장학회 강탈”

[긴급점검 정수장학회] 진실위 “박정희 지시로 부일장학회 강탈”
[경향신문] 강병한 기자 | 입력 : 2012-02-23 22:22:28 | 수정 : 2012-02-24 00:55:40


정수장학회 논란의 시발점은 5·16 군사 쿠데타 2년 뒤인 196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부산지역 기업인이던 당시 김지태 삼화고무 사장은 순탄하게 운영해 오던 부일장학회를 당시 군사정권의 최고통치기구인 국가재건최고회의에 ‘헌납’했다.

부일장학회는 5·16장학회와 정수장학회로 주인만 바뀌어 합법적으로 운영돼 왔지만 “강탈된 것”이라는 증언이 계속됐다. 구속된 뒤 재산포기각서를 쓴 사실 등을 기술한 김씨의 자서전 <나의 이력서>가 출간됐다.

▲ 정수장학회의 전신인 부일장학회 설립자 김지태씨의 차남 영우씨(가운데)가 2007년 6월12일 한나라당 대선후보 검증위원회에 ‘장학회 강탈’ 자료를 낸 뒤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 경향신문 자료사진

김지태씨를 구속, 조사했던 중앙정보부의 박용기 전 대령이 추후 그에게 보낸 편지는 “사회실정을 알았다면 김 사장님과 저와의 관계가 그렇게 되지는 않았을 것이며, 그 당시 그렇게 조종한 인간들에게 휩쓸려들지도 않았으리라고 믿습니다”라는 내용이었다.

물밑의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40여년 만이었다. 과거사 진실규명회를 꾸렸던 국정원은 2005년 7월 군부세력이 부일장학회를 강탈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국정원진실위는 “부일장학회 헌납과정에 박정희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개입된 사실을 찾아냈다”며 “김지태 창립자의 재산헌납이 표면상으로는 자발적으로 기부된 것으로 보이나 사실은 그의 구속수감 중에 강압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발표했다.

당시 한나라당 대표인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터무니없는 주장”이라면서 반발했다. “정수장학회를 기증받은 날짜를 허위로 기재했다고 하는데 장학회는 기증받은 날짜를 정확히 적은 원본이 있다. 당시 국정원에 관계했던 인사들이 강탈이 아니라고 증언을 여러번 했는데도 강탈이라고 그냥 우기는 것”(같은 해 9월 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이라고 주장했다.

국정원진실위에 이어 대통령 직속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도 2007년 “강요에 의한 재산헌납”이라며 “재산을 환원해야 한다”는 결론을 냈다. 정수장학회 측은 “현재 이미 공익재단”이라는 논리 속에서 사회환원 요구엔 귀를 닫고 있다.

박 위원장은 “장학회가 강제 헌납이 아니라는 입증 자료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안다”(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노무현 대통령이 직접 장물이라고 해서 당시 모든 권력을 동원해서 이것을 해보겠다고 했는데, 사실이 아니라고 밝혀진 것으로 알고 있다”(지난 20일 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는 논리를 펼치고 있다.


출처 : [긴급점검 정수장학회] 진실위 “박정희 지시로 부일장학회 강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