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인천공항, ‘비정규직도 1위’
황금연휴에 공항지키는 노동자들
간접고용 비정규직 6,831명
과로·고용불안·저임금 ‘허덕’
경비·소방 등 안전도 외주화
정규직화 공약에 ‘실낱희망’
[한겨레] 영종도/박태우 기자 | 등록 : 2017-05-03 21:10 | 수정 : 2017-05-03 22:11
24시간 정신없이 항공기가 뜨고 내리는 인천국제공항은 설렘의 공간이다. 공항 리무진버스에 앉아 햇빛을 받아 반짝거리는 공항청사 유리 외벽이 눈에 들어오면, 그 설렘은 배가된다.
12년 연속 세계공항서비스 평가 1위, 연간 승객 5,700만 명과 화물 270만 톤을 처리하는 인천국제공항은 지난달 29일부터 오는 9일 대통령선거일까지 이어지는 황금연휴 동안 179만 명의 손님을 맞을 예정이다.
연휴 기간 공항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하루를 일할지, 이틀을 일할지, 언제 여행을 갈지 고민하지만, 공항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하루를 쉴 수 있을지, 이틀을 쉴 수 있을지 고민한다.
연휴를 이틀 앞둔 지난달 27일 밤 <한겨레>가 찾은 인천공항은 여느 때처럼 야간작업이 한창이었다. 한쪽에선 에스컬레이터를 정비하고 다른 쪽에선 전광판을 손보고 있었다. 근무복을 입은 보안경비원들이 순찰하고, 다른 쪽에선 청소 카트가 바닥을 쓸어내고 있었다.
밤 10시, 공항을 청소하는 노동자들이 구역을 조장에게서 배정받은 뒤 장비를 들고 맡은 구역으로 흩어졌다. 50대 여성 노동자 이수현(가명) 씨도 장비를 들고 밖으로 나와 청소를 시작했다. 그가 맡은 일은 약품을 써서 바닥에 묻은 때를 벗겨낸 뒤 다시 왁스를 발라 광을 내는 일이다. 기름 때문에 미끄러져 엉덩방아를 찧는 일도, 덜덜덜 돌아가는 기계 진동으로 손에 쥐가 나는 일도 숱하다. 동이 터오면 땀에 전 유니폼을 갈아입고 아침 7시에 공항을 나선다.
이 씨는 30여 년 전 시골에서 인천으로 올라왔다. 공단 봉제공장 ‘시다’로 일을 시작해 모은 돈으로 남편과 함께 작은 가게를 운영했으나 벌이가 시원찮아 공항에 일자리를 잡았다. 야간수당을 포함해 받는 돈은 월 230여만 원. 야간노동을 자처한 것도 돈 때문이었다.
이 씨는 일주일에 하루를 제외하고 주 6일을 일한다. 그의 바람은 “주 5일 근무”와 “고용불안 없는 정규직이 되는 것”이다. 이 씨는 인천국제공항공사에 소속된 노동자가 아니라 공사와 용역계약을 맺은 하청업체 소속이다.
용역계약은 3년에 한 번 체결되고 업체 실적에 따라 2년간 연장할지를 결정하는데, 이 시기가 노동자들에게 가장 불안한 때다. 정부의 ‘용역근로자 보호지침’에 따라 대부분 고용승계가 이뤄지긴 하지만, 혹여 인원이 줄지는 않을지, 새 업체 관리자가 일하는 방식을 바꿔 노동조건이 변경되지 않을지 불안감에 빠질 수밖에 없다.
2001년 개항 이후 십수 년째 일하는 동안 용역업체가 4~5번씩 바뀐 노동자들도 있다. “대학을 나온 딸도 비정규직 노동자”라는 이 씨는 대선을 앞두고 “가난은 대물림받았지만, 이런 것(비정규직 일자리)까지 자식들에게 물려주고 싶진 않다”고 말했다.
공항에서 수화물관리업무를 맡으며 3조2교대 근무를 하는 30대 남성 노동자 최성민(가명) 씨 바람도 어머니뻘인 이 씨와 같다. 미혼인 최 씨는 “공항공사의 용역비 제한 때문에 10년 넘게 일한 사람과 신입직원 사이에 임금 차이가 월 10만~20만 원밖에 나질 않는다”며 “지금 200여만 원을 받고 있지만, 이 돈으로 혼자 살 수는 있어도 결혼을 하고 애를 낳기는 힘든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에 대한 책임감은 회사의 비전에서 나오는데 몇 년을 일해도 임금이 오를 가망이 별로 없으니 의욕도 떨어진다”고 말했다.
인천공항엔 이들 같은 비정규직 노동자가 지난해 10월 말 기준 6,831명으로, 전체 직원의 84.2%에 이른다.
환경미화·시설관리는 물론이고 공항청사에서 순찰을 하는 특수경비원도, 체크인한 뒤 입국장으로 들어설 때 검색을 하는 직원도, 수화물을 비행기까지 옮겨주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직원도, 항공기에서 응급환자나 화재가 발생하면 출동하는 소방대원도 모두 비정규직이다.
이 비정규직의 수는 올해 말 제2여객터미널이 개항하면 1만 명에 육박하게 된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정규직화를 희망하는 것은 비단 자신들의 처우 때문만은 아니다. 공항 업무의 공공성과 비상상황에서 초동 대처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간접고용 형태가 아닌 직접고용 정규직화가 필요하다고 노동자들은 주장한다.
지난해 1월 인천공항은 ‘공항수하물종합관리시스템’ 부품이 고장 나면서 수십 대의 항공기가 지연되는 ‘수화물 대란’을 겪었다. 이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는 용역업체에서 일하는 송대철(가명) 씨는 “시스템이 도입된 지 16년이 됐기 때문에 고장은 자주 있었는데 2차 하청업체-1차 하청업체-공항공사-항공사 사이에서 제대로 소통이 안 되면서 발생한 일”이라며 “하청업체가 해결 방법을 제대로 신속하게 말할 수 있는 여건만 됐어도 그 정도까지 크게 번질 일은 아니었다”고 했다.
복장·장비, 하는 일까지 소방공무원과 똑같지만, 신분은 간접고용 비정규직인 공항소방대 응급구조사 조선영(가명) 씨도 용역업체 소속으로 업무 보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사스·메르스와 같은 국가를 넘나드는 전염병이 창궐할 때, 방역 최전선에서 일했던 조 씨는 “메르스 때는 정말 살벌했다. 공항구역이 워낙 넓어 보호복을 입고 이곳저곳을 다니는 것도 매우 힘든 일이었지만, 공항 검역소나 공항공사와 유기적인 협업이 필수인데 용역업체 소속이다 보니 직접 소통을 할 수 없고 보고와 허가를 거치는 단계가 많아 대응 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인천공항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조합인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노조) 박대성 지부장은 “비정규직 문제 해결은 공공기관이 모범을 보여야 하고, 특히 공공기관 가운데 수익도 많이 내고 노동자 숫자도 많은 인천공항부터 출발해야 한다”며 “임금은 둘째 치고라도, 용역업체 변경 때마다 노동자들이 불안에 시달리는 일이 없도록 진짜 사용자 공항공사가 노동자들을 직접 고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공항공사는 지난해 9,649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그동안 노동계는 공공기관의 간접고용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라는 주장을 끊임없이 해왔다. 공항공사 관계자는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고 싶어도 정부의 정원과 예산 문제에 걸리기 때문에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토로한다. 결국, 비정규직 처우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공공성을 높이는 문제는 정부의 의지에 달려 있다.
올해 국회가 간접고용 비정규직이었던 청소노동자를 직접 고용하고, 지난해 서울시가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의 안전분야 간접고용 비정규직을 직접 고용한 사례는 결정권자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9일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은 모두 공공부문 비정규직 처우 개선 공약을 내놨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공공부문의 상시 일자리 간접고용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공약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공공부문에 ‘직무형 정규직’을 도입해 고용불안을 해소하겠다고, 심상정 정의당 후보도 상시지속업무는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그 전환에 걸림돌이 되는 공공기관 총액인건비제와 경영평가제를 폐지하겠다고 약속했다. 2015년 기준 6만9천여 명에 이르는 공공기관 간접고용 노동자들에게 희망을 불러일으키는 공약들이다.
그러나 노조가 지난 2월 소속 조합원 2,360명 가운데 1,71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정권이 교체되면 비정규직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7.2%에 불과했다. “정권교체가 되더라도 어려울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45.5%, “교체 이후 노조가 노력해야 해결된다”는 응답이 42.7%였다. ‘장밋빛’ 공약에 대한 불신이 벌써 시작된 셈이다.
공항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바쁘고 힘들게 했던 연휴의 마지막은 대통령 선거일이다. 연휴와 대선이 끝나면 이들의 삶은 바뀔 수 있을까?
출처 서비스 세계 1위, 비정규직 1위 인천공항…“대선 지나면 나아질까요?”
황금연휴에 공항지키는 노동자들
간접고용 비정규직 6,831명
과로·고용불안·저임금 ‘허덕’
경비·소방 등 안전도 외주화
정규직화 공약에 ‘실낱희망’
[한겨레] 영종도/박태우 기자 | 등록 : 2017-05-03 21:10 | 수정 : 2017-05-03 22:11
▲ 인천국제공항 간접고용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공항외벽을 청소하고 있다.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 제공
24시간 정신없이 항공기가 뜨고 내리는 인천국제공항은 설렘의 공간이다. 공항 리무진버스에 앉아 햇빛을 받아 반짝거리는 공항청사 유리 외벽이 눈에 들어오면, 그 설렘은 배가된다.
12년 연속 세계공항서비스 평가 1위, 연간 승객 5,700만 명과 화물 270만 톤을 처리하는 인천국제공항은 지난달 29일부터 오는 9일 대통령선거일까지 이어지는 황금연휴 동안 179만 명의 손님을 맞을 예정이다.
연휴 기간 공항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하루를 일할지, 이틀을 일할지, 언제 여행을 갈지 고민하지만, 공항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하루를 쉴 수 있을지, 이틀을 쉴 수 있을지 고민한다.
연휴를 이틀 앞둔 지난달 27일 밤 <한겨레>가 찾은 인천공항은 여느 때처럼 야간작업이 한창이었다. 한쪽에선 에스컬레이터를 정비하고 다른 쪽에선 전광판을 손보고 있었다. 근무복을 입은 보안경비원들이 순찰하고, 다른 쪽에선 청소 카트가 바닥을 쓸어내고 있었다.
밤 10시, 공항을 청소하는 노동자들이 구역을 조장에게서 배정받은 뒤 장비를 들고 맡은 구역으로 흩어졌다. 50대 여성 노동자 이수현(가명) 씨도 장비를 들고 밖으로 나와 청소를 시작했다. 그가 맡은 일은 약품을 써서 바닥에 묻은 때를 벗겨낸 뒤 다시 왁스를 발라 광을 내는 일이다. 기름 때문에 미끄러져 엉덩방아를 찧는 일도, 덜덜덜 돌아가는 기계 진동으로 손에 쥐가 나는 일도 숱하다. 동이 터오면 땀에 전 유니폼을 갈아입고 아침 7시에 공항을 나선다.
이 씨는 30여 년 전 시골에서 인천으로 올라왔다. 공단 봉제공장 ‘시다’로 일을 시작해 모은 돈으로 남편과 함께 작은 가게를 운영했으나 벌이가 시원찮아 공항에 일자리를 잡았다. 야간수당을 포함해 받는 돈은 월 230여만 원. 야간노동을 자처한 것도 돈 때문이었다.
이 씨는 일주일에 하루를 제외하고 주 6일을 일한다. 그의 바람은 “주 5일 근무”와 “고용불안 없는 정규직이 되는 것”이다. 이 씨는 인천국제공항공사에 소속된 노동자가 아니라 공사와 용역계약을 맺은 하청업체 소속이다.
용역계약은 3년에 한 번 체결되고 업체 실적에 따라 2년간 연장할지를 결정하는데, 이 시기가 노동자들에게 가장 불안한 때다. 정부의 ‘용역근로자 보호지침’에 따라 대부분 고용승계가 이뤄지긴 하지만, 혹여 인원이 줄지는 않을지, 새 업체 관리자가 일하는 방식을 바꿔 노동조건이 변경되지 않을지 불안감에 빠질 수밖에 없다.
2001년 개항 이후 십수 년째 일하는 동안 용역업체가 4~5번씩 바뀐 노동자들도 있다. “대학을 나온 딸도 비정규직 노동자”라는 이 씨는 대선을 앞두고 “가난은 대물림받았지만, 이런 것(비정규직 일자리)까지 자식들에게 물려주고 싶진 않다”고 말했다.
공항에서 수화물관리업무를 맡으며 3조2교대 근무를 하는 30대 남성 노동자 최성민(가명) 씨 바람도 어머니뻘인 이 씨와 같다. 미혼인 최 씨는 “공항공사의 용역비 제한 때문에 10년 넘게 일한 사람과 신입직원 사이에 임금 차이가 월 10만~20만 원밖에 나질 않는다”며 “지금 200여만 원을 받고 있지만, 이 돈으로 혼자 살 수는 있어도 결혼을 하고 애를 낳기는 힘든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에 대한 책임감은 회사의 비전에서 나오는데 몇 년을 일해도 임금이 오를 가망이 별로 없으니 의욕도 떨어진다”고 말했다.
세계 1위 공항, 비정규직 84%
인천공항엔 이들 같은 비정규직 노동자가 지난해 10월 말 기준 6,831명으로, 전체 직원의 84.2%에 이른다.
환경미화·시설관리는 물론이고 공항청사에서 순찰을 하는 특수경비원도, 체크인한 뒤 입국장으로 들어설 때 검색을 하는 직원도, 수화물을 비행기까지 옮겨주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직원도, 항공기에서 응급환자나 화재가 발생하면 출동하는 소방대원도 모두 비정규직이다.
이 비정규직의 수는 올해 말 제2여객터미널이 개항하면 1만 명에 육박하게 된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정규직화를 희망하는 것은 비단 자신들의 처우 때문만은 아니다. 공항 업무의 공공성과 비상상황에서 초동 대처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간접고용 형태가 아닌 직접고용 정규직화가 필요하다고 노동자들은 주장한다.
지난해 1월 인천공항은 ‘공항수하물종합관리시스템’ 부품이 고장 나면서 수십 대의 항공기가 지연되는 ‘수화물 대란’을 겪었다. 이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는 용역업체에서 일하는 송대철(가명) 씨는 “시스템이 도입된 지 16년이 됐기 때문에 고장은 자주 있었는데 2차 하청업체-1차 하청업체-공항공사-항공사 사이에서 제대로 소통이 안 되면서 발생한 일”이라며 “하청업체가 해결 방법을 제대로 신속하게 말할 수 있는 여건만 됐어도 그 정도까지 크게 번질 일은 아니었다”고 했다.
복장·장비, 하는 일까지 소방공무원과 똑같지만, 신분은 간접고용 비정규직인 공항소방대 응급구조사 조선영(가명) 씨도 용역업체 소속으로 업무 보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사스·메르스와 같은 국가를 넘나드는 전염병이 창궐할 때, 방역 최전선에서 일했던 조 씨는 “메르스 때는 정말 살벌했다. 공항구역이 워낙 넓어 보호복을 입고 이곳저곳을 다니는 것도 매우 힘든 일이었지만, 공항 검역소나 공항공사와 유기적인 협업이 필수인데 용역업체 소속이다 보니 직접 소통을 할 수 없고 보고와 허가를 거치는 단계가 많아 대응 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인천공항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조합인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노조) 박대성 지부장은 “비정규직 문제 해결은 공공기관이 모범을 보여야 하고, 특히 공공기관 가운데 수익도 많이 내고 노동자 숫자도 많은 인천공항부터 출발해야 한다”며 “임금은 둘째 치고라도, 용역업체 변경 때마다 노동자들이 불안에 시달리는 일이 없도록 진짜 사용자 공항공사가 노동자들을 직접 고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공항공사는 지난해 9,649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대선후보들 “공공부문 비정규직 개선” 공약
그동안 노동계는 공공기관의 간접고용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라는 주장을 끊임없이 해왔다. 공항공사 관계자는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고 싶어도 정부의 정원과 예산 문제에 걸리기 때문에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토로한다. 결국, 비정규직 처우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공공성을 높이는 문제는 정부의 의지에 달려 있다.
올해 국회가 간접고용 비정규직이었던 청소노동자를 직접 고용하고, 지난해 서울시가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의 안전분야 간접고용 비정규직을 직접 고용한 사례는 결정권자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9일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은 모두 공공부문 비정규직 처우 개선 공약을 내놨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공공부문의 상시 일자리 간접고용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공약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공공부문에 ‘직무형 정규직’을 도입해 고용불안을 해소하겠다고, 심상정 정의당 후보도 상시지속업무는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그 전환에 걸림돌이 되는 공공기관 총액인건비제와 경영평가제를 폐지하겠다고 약속했다. 2015년 기준 6만9천여 명에 이르는 공공기관 간접고용 노동자들에게 희망을 불러일으키는 공약들이다.
그러나 노조가 지난 2월 소속 조합원 2,360명 가운데 1,71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정권이 교체되면 비정규직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7.2%에 불과했다. “정권교체가 되더라도 어려울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45.5%, “교체 이후 노조가 노력해야 해결된다”는 응답이 42.7%였다. ‘장밋빛’ 공약에 대한 불신이 벌써 시작된 셈이다.
공항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바쁘고 힘들게 했던 연휴의 마지막은 대통령 선거일이다. 연휴와 대선이 끝나면 이들의 삶은 바뀔 수 있을까?
출처 서비스 세계 1위, 비정규직 1위 인천공항…“대선 지나면 나아질까요?”
'세상에 이럴수가 > 노동과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조원 떠안으면 찍혀"... 현중 '블랙리스트' 녹취록 (0) | 2017.05.08 |
---|---|
고공농성 노동자들의 외침에 귀 기울여야 한다 (0) | 2017.05.06 |
“뭐가 바빠 노동절 휴일날 일 시켰나” (0) | 2017.05.03 |
삼성중공업 크레인 참사가 작업자 과실이라니요! (0) | 2017.05.03 |
“삼성중공업이 동생을 죽였습니다” (0) | 2017.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