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의 방송장악, 파업 부메랑으로
MBC·KBS·YTN 연쇄파업 선포
MB맨들 사장으로 ‘낙하’...정권에 불리한 보도 외면
거리로 나온 3사 방송인들...“지난 4년간 공정보도 못해”
[한겨레] 문현숙 선임기자 | 등록 : 2012.03.05 20:14 | 수정 : 2012.03.05 21:28
<문화방송>(MBC)과 <한국방송>(KBS), <와이티엔>(YTN)이 한꺼번에 파업에 들어간다. 방송사들의 동시파업은 1997년 노동악법 반대, 2009년 언론관계법 날치기처리 항의 파업에 이어 세번째다. 4·11 총선을 한달 남짓 앞두고 벌어지는 방송 대투쟁의 뿌리는 이명박 정부의 무리한 방송 장악에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지난 1월30일부터 시작한 문화방송 노조 파업에 이어, 한국방송 새노조(전국언론노조 한국방송본부)는 6일 새벽 5시부터 무기한 파업에 들어간다. 와이티엔 노조는 배석규 현 사장 연임을 결정하는 주주총회(9일)를 앞두고, 8일 아침 8시부터 10일까지 3일간 1단계 파업을 벌일 예정이다.
파업 방송인들의 핵심적인 요구 사항은 ‘공정방송 복원, 낙하산사장 퇴진, 해고자 복직’이다. 사측의 공정방송 훼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게 이번 동시파업의 특징이다.
한국방송 기자협회는 제작거부 선언문을 통해 “정권에 예민한 뉴스를 회피하고 약자들의 입장을 충분히 대변하지 못했다”고 지난 4년간의 보도 현실을 반성하면서 “이젠 국민의 품으로 돌아가겠다”고 밝혔다.
이명박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집요하게 방송 장악을 시도했다. 대통령의 멘토라 불린 최시중씨를 방송통신위원장에 임명한 게 신호탄이었다. 이 대통령 선거캠프 특보였던 구본홍씨를 와이티엔 사장에 임명했고, 정연주 당시 한국방송 사장을 감사원, 검찰까지 동원하며 불법적으로 내쳤다. 엄기영 사장이 중도 퇴진한 문화방송 사장엔 친한나라당 성향을 보여온 김재철씨를, 한국방송 사장엔 이병순씨에 이어 이 대통령 선거참모였던 김인규씨를 앉혔다.
이들 방송사에선 크고 작은 제작자율성 침해 논란이 끊임없이 일었다. 보도·제작 책임자들은 정권에 불리한 보도나 제작 아이템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4대강 문제처럼 현 정부의 실정을 짚는 기사들을 공영방송에선 제대로 볼 수 없었다”고 한국방송의 한 기자는 토로했다. 지난 4년은 방송 제작현장의 자율성을 보호하는 제도적 장치들이 허물어져간 시기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게 문화방송의 국장책임제다. 경영진의 자의적인 보도·제작 관여를 막기 위한 이 제도가 김재철 사장 취임 이후 경영진의 일원인 본부장이 책임지는 구조로 바뀌었다. 결과적으로 사장의 통제 권한이 훨씬 커졌다. 공정방송을 위한 노사간 협의 통로도 유명무실해졌다.
취재 현장에선 방송사의 이니셜을 따서, 문화방송(MBC)은 ‘엠비(MB)씨’로, 한국방송(KBS)은 ‘김 비서’로 불릴 정도였다. 방송사 파업의 구호가 경영진 퇴진인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방송 독립성과 공정성 훼손을 주도하는 이가 결국 최고경영진이라고 보는 것이다.
방송사 경영진은 강경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여기엔 청와대의 상황 인식도 깔려 있다고 정치권과 방송계에선 분석한다. 임기 말에 처한 청와대로선, 어느 한곳이라도 무너지면 다른 방송사들까지 연쇄적으로 경영진을 교체해야 하는 처지에 몰릴 걸 우려한다는 것이다. 문화방송사는 지난주에 제작거부를 주도한 박성호 기자회장을 해고한 데 이어, 5일 노조 간부 1명을 또다시 해고했다.
출처 : MB의 방송장악, 파업 부메랑으로
MBC·KBS·YTN 연쇄파업 선포
MB맨들 사장으로 ‘낙하’...정권에 불리한 보도 외면
거리로 나온 3사 방송인들...“지난 4년간 공정보도 못해”
[한겨레] 문현숙 선임기자 | 등록 : 2012.03.05 20:14 | 수정 : 2012.03.05 21:28
▲ 지난 2일부터 제작거부를 해온 <한국방송>(KBS) 기자들이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방송 신관 앞에서 집회를 열고 공정보도를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반성의 내용이 담긴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소영 기자 |
<문화방송>(MBC)과 <한국방송>(KBS), <와이티엔>(YTN)이 한꺼번에 파업에 들어간다. 방송사들의 동시파업은 1997년 노동악법 반대, 2009년 언론관계법 날치기처리 항의 파업에 이어 세번째다. 4·11 총선을 한달 남짓 앞두고 벌어지는 방송 대투쟁의 뿌리는 이명박 정부의 무리한 방송 장악에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지난 1월30일부터 시작한 문화방송 노조 파업에 이어, 한국방송 새노조(전국언론노조 한국방송본부)는 6일 새벽 5시부터 무기한 파업에 들어간다. 와이티엔 노조는 배석규 현 사장 연임을 결정하는 주주총회(9일)를 앞두고, 8일 아침 8시부터 10일까지 3일간 1단계 파업을 벌일 예정이다.
파업 방송인들의 핵심적인 요구 사항은 ‘공정방송 복원, 낙하산사장 퇴진, 해고자 복직’이다. 사측의 공정방송 훼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게 이번 동시파업의 특징이다.
한국방송 기자협회는 제작거부 선언문을 통해 “정권에 예민한 뉴스를 회피하고 약자들의 입장을 충분히 대변하지 못했다”고 지난 4년간의 보도 현실을 반성하면서 “이젠 국민의 품으로 돌아가겠다”고 밝혔다.
이명박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집요하게 방송 장악을 시도했다. 대통령의 멘토라 불린 최시중씨를 방송통신위원장에 임명한 게 신호탄이었다. 이 대통령 선거캠프 특보였던 구본홍씨를 와이티엔 사장에 임명했고, 정연주 당시 한국방송 사장을 감사원, 검찰까지 동원하며 불법적으로 내쳤다. 엄기영 사장이 중도 퇴진한 문화방송 사장엔 친한나라당 성향을 보여온 김재철씨를, 한국방송 사장엔 이병순씨에 이어 이 대통령 선거참모였던 김인규씨를 앉혔다.
이들 방송사에선 크고 작은 제작자율성 침해 논란이 끊임없이 일었다. 보도·제작 책임자들은 정권에 불리한 보도나 제작 아이템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4대강 문제처럼 현 정부의 실정을 짚는 기사들을 공영방송에선 제대로 볼 수 없었다”고 한국방송의 한 기자는 토로했다. 지난 4년은 방송 제작현장의 자율성을 보호하는 제도적 장치들이 허물어져간 시기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게 문화방송의 국장책임제다. 경영진의 자의적인 보도·제작 관여를 막기 위한 이 제도가 김재철 사장 취임 이후 경영진의 일원인 본부장이 책임지는 구조로 바뀌었다. 결과적으로 사장의 통제 권한이 훨씬 커졌다. 공정방송을 위한 노사간 협의 통로도 유명무실해졌다.
취재 현장에선 방송사의 이니셜을 따서, 문화방송(MBC)은 ‘엠비(MB)씨’로, 한국방송(KBS)은 ‘김 비서’로 불릴 정도였다. 방송사 파업의 구호가 경영진 퇴진인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방송 독립성과 공정성 훼손을 주도하는 이가 결국 최고경영진이라고 보는 것이다.
방송사 경영진은 강경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여기엔 청와대의 상황 인식도 깔려 있다고 정치권과 방송계에선 분석한다. 임기 말에 처한 청와대로선, 어느 한곳이라도 무너지면 다른 방송사들까지 연쇄적으로 경영진을 교체해야 하는 처지에 몰릴 걸 우려한다는 것이다. 문화방송사는 지난주에 제작거부를 주도한 박성호 기자회장을 해고한 데 이어, 5일 노조 간부 1명을 또다시 해고했다.
출처 : MB의 방송장악, 파업 부메랑으로
'세상에 이럴수가 > 오사카산 쥐새끼'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 6살·9살 외손자, ‘9억 주식부자’ (0) | 2012.05.05 |
---|---|
[한겨레21] “MB, 사찰보고서 밤새워 읽을 정도로 좋아해” (0) | 2012.05.05 |
백기완 “MB는 뉘우치는 연극도 못하는 독재자” (0) | 2012.03.06 |
“MB가 친일·독재 후예라 고백한 꼴” (0) | 2012.03.05 |
노무현 인사의 실패, 이명박 인사의 성공 원인 (0) | 2012.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