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글로벌 호구’ 한국에 무기를 파는 손쉬운 방법
[민중의소리] 김원식 전문기자 | 발행 : 2016-08-20 09:40:10 | 수정 : 2016-08-20 09:40:10
"한국은 북한이라는 존재가 있는 한 우리의 영원한 핵심 고객이다" 미국 방위산업체(방산업체) 주변에 널리 펴져 있는 정설이다. 말이 고객이지 시쳇말로 하면 '호구'와 '고객'의 합성 신조어인 '호갱'이라는 것이다. '글로벌 호구'라고도 불린다.
북한에서 날아올 수 있는 날벌레(미사일)를 막기 위해 하늘 층계별로 촘촘히 거미줄(미사일방어)을 쳐야 한다는 논리가 득세한다. 이들 북한발 미사일이 남한 목표물로 떨어지기(종말 단계) 전 고도 약 40km에서 150km 범위에서 '사드(THAAD)'라는 거미줄을 쳐야 한다는 주장이 이제는 버젓이 관철되었다.
북한이 그보다 낮은 고도의 단거리 미사일을 놔두고 왜 그렇게 높은 고도로 발사하느냐는 기초적 의문은 '안보' 논리에 묻혔다. 수도권은 방어도 못 하게 왜 하필 성주에 배치하느냐는 의문도 "수도권은 좀 낮은 단계 요격 미사일인 PAC(패트리엇)이 담당하면 된다"고 어물쩍 넘어간다. '북한의 신형 방사포나 단거리 미사일도 최소 천여 발이 넘는데, 사드나 PAC(패트리어트)로 어떻게 다 방어하느냐'는 의문엔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게 낫다"는 기상천외한 답이 돌아온다.
사드 도입이 확정되자, 이제는 "SM-3도 구매하라"는 군불 떼기가 시작된다. 이왕 다층적(?) 방어하는 김에 요격거리도 한 500km 되고 방어 고도도 150∼500㎞로 사드(40∼150㎞)보다 훨씬 높은 SM-3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호갱'에 대한 '후려치기(사기라고는 표현하지 않겠다)' 기술이 사드 판매 방식과 너무 똑같다. 좀 더 고급 제품이고 가격도 높은데, 얼마나 만만하면 판매 방식은 그대로일까 하는 것이다.
우선, 사드 판매와 같은 '꼬드김' 기술이 먼저 발휘된다. 사드 판매 때의 "철지난 PAC-2 갖고 있는데, PAC-3나 사드가 필요합니다"라는 바로 그 기술이다. 이번엔 "겨우 150km 나가는 SM-2 갖고 있는데, 신형 SM-3 도입하셔야죠, 다층 방어하셔야죠"이다.
이미 배치가 결정된 사드도 자국 정부 기관 등에서는 "한국은 너무 종심(사거리)이 짧아 필요 없다"고 했으나 판매에 성공한 바 있다. 지금 미 방산업체가 팔아먹으려고 나선 SM-3도 마찬가지다. 1999년 미 국방부 미사일방어(MD) 보고서는 "한국의 경우 해상 미사일방어체제(MD)로는 해안 시설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나, 내륙의 시설이나 인구 밀집 지역을 방어하는 데에는 도달하지 못한다. 해상 MD는 저고도로 날아오는 단거리 탄도미사일로부터 한국의 3분의 2를 방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참고로 SM-3는 주로 이지스함 등 전함에 장착되는 요격용 미사일이다. '바다의 사드'라고도 불리는 해상 MD인데, 미 국방부가 한국에는 필요 없다고 결론 내린 것이다.
한국 국방부의 초기 '시침 떼기'도 사드와 똑같다. 2014년 5월, 한국 국방부 대변인은 "SM-3와 같은 무기체계는 우리군의 목표가 종말단계 하층방어가 목표인데 이 종말단계 하층방어를 넘는 수준이다. SM-3는 고려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과거에도 밝혔다"고 시침을 뗀다. 사드 시침 떼기와 거의 토시 하나 안 틀린다. 그리고 사드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진실이다. 하지만 곧이어 이 진실을 갈아엎는 미 국방부 수뇌부들의 '알박기'가 시작된다.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 사령관은 지난 2일, 한국국방연구원 주최 국방포럼 강연에서 "사드는 중첩 미사일방어체계의 일부"라며 "지속적인 패트리엇 미사일 증강은 중첩 미사일방어체계에 큰 힘이 될 것이고 해상 요격능력 또한 이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상 요격 능력 즉, SM-3 필요성에 알박기를 한 것이다. 이쯤 되면 사드 논란이 한창이던 2014년 6월 당시 주한미군 사령관이었던 커티스 스캐퍼로티 사령관이 같은 국방포럼 강연에서 "사드는 미국 측에서 추진하는 사항이고 내가 전개를 요청했다"고 나서 판세(?)를 바꾼 장면이 떠오른다.
미 국방부 수뇌부가 알박기에 나서면 한국 국방부 관계자들은 슬슬 말을 바꾸면서 '군불 떼기'에 나선다. 지난 2일, "군 관계자는 '사드 배치에 이어 SM-3를 도입하면 중첩 미사일방어체계를 완성 단계로 끌어올릴 수 있다'며 '신형 이지스함의 성능을 고려해도 SM-3를 도입하는 게 자연스럽다'고 말했다"는 보도가 나오는 이유이다. 이어 16일에는 "한 국방부 관계자는 '사드를 한국에 배치하기로 한 한미 양국 군 당국이 곧 한국군의 SM-3 도입 방안 논의에 착수할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는 보도가 분위기(?)를 띄운다. '전혀 필요 없다'에서 '논의해 보겠다'로 '돌려치기'하는 모습이 사드 도입 때와 소름 돋도록 똑같은 판박이다.
이렇게 군불을 떼면서도 한국 국방부는 어김없이 시침을 뗀다. 국방부 대변인은 18일, SM-3 도입에 관해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그리고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불과 2년 만에 한국 국방부는 "고려 대상이 아니다"에서 "검토가 필요하다"로 발전한 것이다. 이러한 발 빼기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사드 도입이 결정된 사실을 보면 SM-3 도입은 불문가지다.
이쯤 되면 태평양을 건너오는 미 방산업체 관계자들은 이미 잘 짜인 '고스톱판'을 보면서 술잔이나 기울일 법하다. "알아서 착착 사 가는데, 뭘 애써 팔려고 해"라는 웃음과 함께.
출처 [기자수첩] 미국이 ‘글로벌 호구’ 한국에 무기를 파는 손쉬운 방법
[민중의소리] 김원식 전문기자 | 발행 : 2016-08-20 09:40:10 | 수정 : 2016-08-20 09:40:10
"한국은 북한이라는 존재가 있는 한 우리의 영원한 핵심 고객이다" 미국 방위산업체(방산업체) 주변에 널리 펴져 있는 정설이다. 말이 고객이지 시쳇말로 하면 '호구'와 '고객'의 합성 신조어인 '호갱'이라는 것이다. '글로벌 호구'라고도 불린다.
북한에서 날아올 수 있는 날벌레(미사일)를 막기 위해 하늘 층계별로 촘촘히 거미줄(미사일방어)을 쳐야 한다는 논리가 득세한다. 이들 북한발 미사일이 남한 목표물로 떨어지기(종말 단계) 전 고도 약 40km에서 150km 범위에서 '사드(THAAD)'라는 거미줄을 쳐야 한다는 주장이 이제는 버젓이 관철되었다.
북한이 그보다 낮은 고도의 단거리 미사일을 놔두고 왜 그렇게 높은 고도로 발사하느냐는 기초적 의문은 '안보' 논리에 묻혔다. 수도권은 방어도 못 하게 왜 하필 성주에 배치하느냐는 의문도 "수도권은 좀 낮은 단계 요격 미사일인 PAC(패트리엇)이 담당하면 된다"고 어물쩍 넘어간다. '북한의 신형 방사포나 단거리 미사일도 최소 천여 발이 넘는데, 사드나 PAC(패트리어트)로 어떻게 다 방어하느냐'는 의문엔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게 낫다"는 기상천외한 답이 돌아온다.
사드 도입이 확정되자, 이제는 "SM-3도 구매하라"는 군불 떼기가 시작된다. 이왕 다층적(?) 방어하는 김에 요격거리도 한 500km 되고 방어 고도도 150∼500㎞로 사드(40∼150㎞)보다 훨씬 높은 SM-3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호갱'에 대한 '후려치기(사기라고는 표현하지 않겠다)' 기술이 사드 판매 방식과 너무 똑같다. 좀 더 고급 제품이고 가격도 높은데, 얼마나 만만하면 판매 방식은 그대로일까 하는 것이다.
▲ SM-3 요격 미사일이 발사되고 있는 장면 ⓒ레이시온사 공개 사진
'바다의 사드' SM-3, 미 국방부 “한국에 불필요” 이미 결론
우선, 사드 판매와 같은 '꼬드김' 기술이 먼저 발휘된다. 사드 판매 때의 "철지난 PAC-2 갖고 있는데, PAC-3나 사드가 필요합니다"라는 바로 그 기술이다. 이번엔 "겨우 150km 나가는 SM-2 갖고 있는데, 신형 SM-3 도입하셔야죠, 다층 방어하셔야죠"이다.
이미 배치가 결정된 사드도 자국 정부 기관 등에서는 "한국은 너무 종심(사거리)이 짧아 필요 없다"고 했으나 판매에 성공한 바 있다. 지금 미 방산업체가 팔아먹으려고 나선 SM-3도 마찬가지다. 1999년 미 국방부 미사일방어(MD) 보고서는 "한국의 경우 해상 미사일방어체제(MD)로는 해안 시설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나, 내륙의 시설이나 인구 밀집 지역을 방어하는 데에는 도달하지 못한다. 해상 MD는 저고도로 날아오는 단거리 탄도미사일로부터 한국의 3분의 2를 방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참고로 SM-3는 주로 이지스함 등 전함에 장착되는 요격용 미사일이다. '바다의 사드'라고도 불리는 해상 MD인데, 미 국방부가 한국에는 필요 없다고 결론 내린 것이다.
한국 국방부의 초기 '시침 떼기'도 사드와 똑같다. 2014년 5월, 한국 국방부 대변인은 "SM-3와 같은 무기체계는 우리군의 목표가 종말단계 하층방어가 목표인데 이 종말단계 하층방어를 넘는 수준이다. SM-3는 고려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과거에도 밝혔다"고 시침을 뗀다. 사드 시침 떼기와 거의 토시 하나 안 틀린다. 그리고 사드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진실이다. 하지만 곧이어 이 진실을 갈아엎는 미 국방부 수뇌부들의 '알박기'가 시작된다.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 사령관은 지난 2일, 한국국방연구원 주최 국방포럼 강연에서 "사드는 중첩 미사일방어체계의 일부"라며 "지속적인 패트리엇 미사일 증강은 중첩 미사일방어체계에 큰 힘이 될 것이고 해상 요격능력 또한 이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상 요격 능력 즉, SM-3 필요성에 알박기를 한 것이다. 이쯤 되면 사드 논란이 한창이던 2014년 6월 당시 주한미군 사령관이었던 커티스 스캐퍼로티 사령관이 같은 국방포럼 강연에서 "사드는 미국 측에서 추진하는 사항이고 내가 전개를 요청했다"고 나서 판세(?)를 바꾼 장면이 떠오른다.
미 국방부 수뇌부가 알박기에 나서면 한국 국방부 관계자들은 슬슬 말을 바꾸면서 '군불 떼기'에 나선다. 지난 2일, "군 관계자는 '사드 배치에 이어 SM-3를 도입하면 중첩 미사일방어체계를 완성 단계로 끌어올릴 수 있다'며 '신형 이지스함의 성능을 고려해도 SM-3를 도입하는 게 자연스럽다'고 말했다"는 보도가 나오는 이유이다. 이어 16일에는 "한 국방부 관계자는 '사드를 한국에 배치하기로 한 한미 양국 군 당국이 곧 한국군의 SM-3 도입 방안 논의에 착수할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는 보도가 분위기(?)를 띄운다. '전혀 필요 없다'에서 '논의해 보겠다'로 '돌려치기'하는 모습이 사드 도입 때와 소름 돋도록 똑같은 판박이다.
▲ 사드 발사대 1기 모습. 총 6대의 이 발사대가 사드 한 개 포대를 구성한다. ⓒ미 미사일방어국 공개 사진
총 2조 원 소요되는 SM-3 도입, 사전준비한 국방부
이렇게 군불을 떼면서도 한국 국방부는 어김없이 시침을 뗀다. 국방부 대변인은 18일, SM-3 도입에 관해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그리고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불과 2년 만에 한국 국방부는 "고려 대상이 아니다"에서 "검토가 필요하다"로 발전한 것이다. 이러한 발 빼기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사드 도입이 결정된 사실을 보면 SM-3 도입은 불문가지다.
한국 해군은 이미 차기 이지스함 3척을 건조하면서 이 SM-3 요격 체제를 탑재할 수 있는 미국 록히드마틴사의 통합전투체계인 '베이스라인9'를 장착하기로 계약했다. 여기에 미국 레이시온사의 제품인 SM-3 요격 미사일을 장착하라는 것이다. 한 발당 150억 원이 넘는 SM-3를 이지스함에 다 도입하려면 거의 2조 원에 달하는 천문학적 비용이 예상된다. 사드야 그래도 주한미군이라는 한 다리를 걸치고 도입한다고 했지만, SM-3는 직접 구매해서 신형 이지스함에 도입하라는 것이다.
이쯤 되면 태평양을 건너오는 미 방산업체 관계자들은 이미 잘 짜인 '고스톱판'을 보면서 술잔이나 기울일 법하다. "알아서 착착 사 가는데, 뭘 애써 팔려고 해"라는 웃음과 함께.
출처 [기자수첩] 미국이 ‘글로벌 호구’ 한국에 무기를 파는 손쉬운 방법
'세상에 이럴수가 > 정치·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들은 왜 건국절을 주장할까? (0) | 2016.08.22 |
---|---|
검찰, ‘옥시 실험 보고서 조작 의혹’ 김앤장 수사 (0) | 2016.08.22 |
성주군민의 일갈 “조선일보 한달만 보면 생사람도 좀비된다” (0) | 2016.08.14 |
“한국인들은 매일 먹고 있는 ‘글리포세이트’를 모른다” (0) | 2016.08.14 |
92세 광복군 노병의 돌직구, 박근혜는 동문서답 (0) | 2016.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