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근로 저소득층 비중 줄고 ‘중간층’ 늘어…“최저임금 효과”
통계청 2018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결과
저·고소득 비중 줄고 중간층 비중 늘어
최저임금 영향 받는 여성·노인 등에서 크게 증가
자영업자는 통계에 반영 안 돼
[한겨레] 이경미 기자 | 등록 : 2020-01-22 12:00 | 수정 : 2020-01-22 12:30
2018년 임금근로자의 소득 수준을 분석해보니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비중이 줄고 중간층이 두꺼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두 자릿수로 상승한 최저임금 효과로 저소득층의 소득이 개선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결과’를 보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297만 원으로, 2017년(287만 원)보다 10만 원(3.4%포인트) 올랐다. 소득 수준에 따라 줄 세웠을 때 가운데 위치하는 중위소득도 2017년 210만 원에서 2018년 220만 원으로 10만 원(4.6%) 상승했다. 해당 통계는 행정자료를 바탕으로 파악한 임금근로 일자리의 근로자별 월평균 보수를 집계한 것으로, 자영업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저소득층(중위소득의 50% 미만) 비율은 20.4%로, 전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중간층인 중위소득 50%~150% 구간은 49%로 전년보다 1.2%포인트 상승했다. 고소득층인 중위소득 150% 이상은 전년보다 0.8%포인트 감소한 30.6%였다.
소득구간별로 살펴보면, 150만~250만 원 구간 비중이 28.9%로 가장 많고, 2017년(25.1%) 대비 상승률(3.8%포인트)도 가장 높았다. 2018년 최저월급이 157만3770원임을 고려하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저소득 근로자의 임금 상승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성과 남성의 임금 격차는 여전했지만, 그 차이는 약간 줄었다. 여성 평균임금은 225만 원, 남성 평균임금은 347만 원으로 격차는 122만 원이다. 전년 격차(124만 원)보다 소폭 감소했다. 여성 임금 상승률(5.5%)이 남성 임금상승률(2.7%)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연령별로는 40대 월평균 소득이 365만 원으로 가장 많고, 50대(341만 원), 30대(322만 원), 20대(206만 원), 60대(202만 원) 순이었다. 전년보다 가장 많이 소득이 오른 연령대는 60대(9만 원, 4.8%)이었고, 그다음은 20대(8만 원 4%)였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2018년 최저임금 인상 영향을 많이 받는 여성, 노인 쪽 임금이 많이 올랐고, 산업 쪽에서도 최저임금 영향이 큰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등에서 많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박 과장은 고임금 근로자 비중이 줄어든 원인에 관해 “2018년 지엠 공장폐쇄 등 사건에 경기 부진으로 제조업이나 조선 업황이 나빴던 영향으로 고임금 근로자의 비중도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평균소득이 619만 원으로 가장 높고, 다음은 금융 및 보험업(617만 원), 국제 및 외국기관(420만 원) 순이었다. 평균소득이 가장 낮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132만 원)이며, 다음은 사업시설 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89만 원)이다.
대기업(대기업·중견기업) 평균소득은 501만 원으로 전년보다 13만 원(2.6%) 늘었고, 중소기업(231만 원)은 전년보다 8만 원(3.7%) 상승했다. 임금 금액은 대기업 근로자가 더 늘었지만, 상승률은 중소기업이 더 높다.
출처 임금근로 저소득층 비중 줄고 ‘중간층’ 늘어…“최저임금 효과”
통계청 2018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결과
저·고소득 비중 줄고 중간층 비중 늘어
최저임금 영향 받는 여성·노인 등에서 크게 증가
자영업자는 통계에 반영 안 돼
[한겨레] 이경미 기자 | 등록 : 2020-01-22 12:00 | 수정 : 2020-01-22 12:30
2018년 임금근로자의 소득 수준을 분석해보니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비중이 줄고 중간층이 두꺼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두 자릿수로 상승한 최저임금 효과로 저소득층의 소득이 개선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결과’를 보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297만 원으로, 2017년(287만 원)보다 10만 원(3.4%포인트) 올랐다. 소득 수준에 따라 줄 세웠을 때 가운데 위치하는 중위소득도 2017년 210만 원에서 2018년 220만 원으로 10만 원(4.6%) 상승했다. 해당 통계는 행정자료를 바탕으로 파악한 임금근로 일자리의 근로자별 월평균 보수를 집계한 것으로, 자영업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저소득층(중위소득의 50% 미만) 비율은 20.4%로, 전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중간층인 중위소득 50%~150% 구간은 49%로 전년보다 1.2%포인트 상승했다. 고소득층인 중위소득 150% 이상은 전년보다 0.8%포인트 감소한 30.6%였다.
소득구간별로 살펴보면, 150만~250만 원 구간 비중이 28.9%로 가장 많고, 2017년(25.1%) 대비 상승률(3.8%포인트)도 가장 높았다. 2018년 최저월급이 157만3770원임을 고려하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저소득 근로자의 임금 상승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성과 남성의 임금 격차는 여전했지만, 그 차이는 약간 줄었다. 여성 평균임금은 225만 원, 남성 평균임금은 347만 원으로 격차는 122만 원이다. 전년 격차(124만 원)보다 소폭 감소했다. 여성 임금 상승률(5.5%)이 남성 임금상승률(2.7%)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연령별로는 40대 월평균 소득이 365만 원으로 가장 많고, 50대(341만 원), 30대(322만 원), 20대(206만 원), 60대(202만 원) 순이었다. 전년보다 가장 많이 소득이 오른 연령대는 60대(9만 원, 4.8%)이었고, 그다음은 20대(8만 원 4%)였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2018년 최저임금 인상 영향을 많이 받는 여성, 노인 쪽 임금이 많이 올랐고, 산업 쪽에서도 최저임금 영향이 큰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등에서 많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박 과장은 고임금 근로자 비중이 줄어든 원인에 관해 “2018년 지엠 공장폐쇄 등 사건에 경기 부진으로 제조업이나 조선 업황이 나빴던 영향으로 고임금 근로자의 비중도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평균소득이 619만 원으로 가장 높고, 다음은 금융 및 보험업(617만 원), 국제 및 외국기관(420만 원) 순이었다. 평균소득이 가장 낮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132만 원)이며, 다음은 사업시설 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89만 원)이다.
대기업(대기업·중견기업) 평균소득은 501만 원으로 전년보다 13만 원(2.6%) 늘었고, 중소기업(231만 원)은 전년보다 8만 원(3.7%) 상승했다. 임금 금액은 대기업 근로자가 더 늘었지만, 상승률은 중소기업이 더 높다.
출처 임금근로 저소득층 비중 줄고 ‘중간층’ 늘어…“최저임금 효과”
'세상에 이럴수가 > 정치·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년째 ‘국보법’ 재판받는 남북경협 IT사업가의 한숨 (0) | 2020.01.25 |
---|---|
미국 “방위비 분담금 타결 안되면 주한미군 韓노동자에 무급휴직 통지” (0) | 2020.01.25 |
“삼성준법감시위 양형 반영은 부당거래”…여야 정치권도 비판 (0) | 2020.01.21 |
현직 판사의 삼성 재판부 비판 “준법위, 지배주주 극복 어려워” (0) | 2020.01.21 |
경찰이 못 잡는다던 ‘지인 능욕’, 직접 추적해보니 ‘중고교 동창’ (0) | 2020.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