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 이럴수가/박정희·박근혜

[긴급점검 정수장학회] 박정희 때 경향신문 강제매각… 정수장학회가 토지 소유

[긴급점검 정수장학회] 박정희 때 경향신문 강제매각
정수장학회가 토지 소유

[경향신문] 김종목 기자 | 입력 : 2012-02-23 22:04:44 | 수정 : 2012-02-24 00:46:49


2005년 7월22일 ‘국가정보원 과거사진실규명발전위원회(국정원진실위)’는 ‘경향신문 매각에 따른 의혹 사건’을 발표했다.

“경향신문이 1950년대 대표적인 비판적 언론이었지만, 이승만 정권에 의해 폐간되었다가 4·19 이후 복간되어 과거 비판적 언론으로서의 논조를 강화해 나가던 중 박정희 군사정권이 중앙정보부를 내세워 강제매각시켰다”는 게 요지다.

▲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초대 위원장인 송기인 신부가 2007년 5월15일 서울 필동 진실화해위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연합뉴스

경향신문은 정·재계, 군부의 부정을 고발하고, 농촌과 도시 빈민의 참상을 조명하는 시리즈를 잇달아 보도했다. <경향신문 50년사>는 1964년 5월부터 연재한 ‘허기진 군상’ 르포를 두고 “6·3계엄 선포로 시리즈는 중단되긴 했지만 대통령 박정희를 가장 분노케 했다는 소문이 그 뒤 언론계에 나돌았다”고 전한다. 박 정권은 경향신문 사장과 기자들을 구속·기소했다. 국정원진실위는 “경향신문을 탄압하기 위해 당시 이준구 사장에게 국가보안법 위반 등의 혐의를 적용했다”고 했다.

이어 강제매각이 이뤄졌다. 1965년 7월 경향신문 채권단인 서울·제일·한일은행은 대출금 4627만원을 일시 상환하라고 통보했다. 경향신문이 대출금을 갚지 못하자 채권단은 1966년 1월 법원 경매에 올렸고, 소공동 사옥·대지·부속건물과 불광동 소재 임야, 윤전기가 기아산업으로 넘어갔다. 기아산업은 경영난으로 산업은행 관리를 받고 있던 회사였다. 이 회사 김철수 사장은 박 전 대통령과 동향이었다.


1969년 1월 이후락 비서실장의 지시로 경향신문 소유권은 신진자동차로 이전됐다. 1974년 11월 박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MBC에 통합되면서 정수장학회 전신인 5·16장학회 소유가 됐다.

1981년 4월 신군부의 언론기본법에 따라 MBC와 분리됐다. 정수장학회는 이 과정에서 경향신문의 정동 사옥 부지(2385㎡·723평)를 가졌다. 경향신문은 32년째 부지 임대료를 정수장학회에 내고 있다.

국정원진실위는 2005년 발표 때 “신문사 건물과 부지를 보유해 경영상 큰 어려움이 없던 경향신문사가 강제매각과 통폐합 과정에서 심각한 적자에 이르러 매달 사옥의 토지 임대료를 지불해야 하는 등 큰 손실을 입어왔다”고 밝혔다.

국정원진실위는 이어 “손실을 보전할 방안을 찾기 위한 사회적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 [긴급점검 정수장학회] 박정희 때 경향신문 강제매각… 정수장학회가 토지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