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태평양 일본군 식인사건’ 규명
한겨레 | 입력 2010.10.05 19:50
강제동원희생 보고서 "조선인들 항의하다 학살당해"
일제강점기 중서태평양 남양군도 밀리환초에 강제동원된 조선인에 대한 일본군의 '식인사건'이 있었음이 공식적으로 규명됐다.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위원장 오병주)는 5일 '밀리환초 조선인 저항사건과 일본군의 탄압 진상조사' 보고서를 내어 "고립과 기아, 공포 등 극심한 전쟁 스트레스와 일본군대 내 억압적인 정신주의가 중첩돼 식인사건과 조선인 학살이 일어났다"고 밝혔다.
밀리환초에서의 조선인 저항과 일본군의 학살은 생존자 진술로 알려져 있으나, 공식적인 조사를 통해 진상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일전쟁에 이어 미국과 전면전이 시작된 1940년 이후 800~1000명의 조선인이 비행장 건설 등 군사시설 확충을 위해 밀리환초에 동원됐으나, 44년 6월부터 일본에서의 보급이 중단돼 '현지자활'이 시작됐다. 514명이던 말리환초 인구는 44년 당시 5300여명에 이르렀고, 식수문제와 농작물 생육이 어려워 극심한 기아에 시달렸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군이 밀리환초의 작은 섬 체르본에서 조선인들에게 '고래고기'라고 준 것이 사람임을 알게 된 조선인들은 45년 2월 28일 섬에 있던 일본인 11명 중 7명을 유인해 살해했다. 다음날 체르본에 온 일본군 토벌대 15명은 100여명의 조선인을 학살한 것으로 위원회 조사결과 밝혀졌다.
위원회는 일본 쪽 관련 기록과 생존자 증언 등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
위원회는 보고서에서 "정황자료와 증언 등이 있지만 식인사건 자체는 객관적으로 실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일제의 침략전쟁과 그로 인한 모순이 반인륜적이고 변태적인 행동으로 드러난 상징적 사건 가운데 하나"라고 평가했다.
김민경 기자
한겨레 | 입력 2010.10.05 19:50
강제동원희생 보고서 "조선인들 항의하다 학살당해"
일제강점기 중서태평양 남양군도 밀리환초에 강제동원된 조선인에 대한 일본군의 '식인사건'이 있었음이 공식적으로 규명됐다.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위원장 오병주)는 5일 '밀리환초 조선인 저항사건과 일본군의 탄압 진상조사' 보고서를 내어 "고립과 기아, 공포 등 극심한 전쟁 스트레스와 일본군대 내 억압적인 정신주의가 중첩돼 식인사건과 조선인 학살이 일어났다"고 밝혔다.
밀리환초에서의 조선인 저항과 일본군의 학살은 생존자 진술로 알려져 있으나, 공식적인 조사를 통해 진상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일전쟁에 이어 미국과 전면전이 시작된 1940년 이후 800~1000명의 조선인이 비행장 건설 등 군사시설 확충을 위해 밀리환초에 동원됐으나, 44년 6월부터 일본에서의 보급이 중단돼 '현지자활'이 시작됐다. 514명이던 말리환초 인구는 44년 당시 5300여명에 이르렀고, 식수문제와 농작물 생육이 어려워 극심한 기아에 시달렸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군이 밀리환초의 작은 섬 체르본에서 조선인들에게 '고래고기'라고 준 것이 사람임을 알게 된 조선인들은 45년 2월 28일 섬에 있던 일본인 11명 중 7명을 유인해 살해했다. 다음날 체르본에 온 일본군 토벌대 15명은 100여명의 조선인을 학살한 것으로 위원회 조사결과 밝혀졌다.
위원회는 일본 쪽 관련 기록과 생존자 증언 등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
위원회는 보고서에서 "정황자료와 증언 등이 있지만 식인사건 자체는 객관적으로 실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일제의 침략전쟁과 그로 인한 모순이 반인륜적이고 변태적인 행동으로 드러난 상징적 사건 가운데 하나"라고 평가했다.
김민경 기자
'세상에 이럴수가 > 일본(X) 쪽바리(O)'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언론 `일본이 과거 할머니들에게 한 짓은…` (0) | 2011.12.18 |
---|---|
동아시아 고난의 산증인, 오키나와-제주-타이완 (0) | 2011.10.27 |
후쿠시마 원전의 `치명적 비밀`을 아시나요? (0) | 2011.03.22 |
한반도 지표 뒤죽박죽됐다 (0) | 2011.03.22 |
일본이 약탈해간 한국 문화재는 일본 소유로 한다. (0) | 2011.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