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 이럴수가/정치·사회·경제

안철수와 증거조작 스캔들

안철수와 증거조작 스캔들
행동경제학의 관점으로 해부해 보자
[민중의소리] 이완배 기자 | 발행 : 2017-07-17 11:35:00 | 수정 : 2017-07-17 11:35:00


지난주(21일) 안철수(전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문준용 씨 특혜 제보 조작 혐의에 대해 사과했다. 긴 사과문의 핵심을 요약하면 “잘못은 한 것 같은데 정계은퇴는 하지 않겠다”는 것인 듯하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벌써 안철수 복귀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가 흘러나온다. 이튿날부터 언론에서는 ‘안철수 2단계 복귀론’이 거론되기 시작했다. 자숙과 성찰의 시간을 갖는다는 명분으로 정치판에서 잠시 발을 빼고 정치권 이외의 영역에서 명예와 지지를 회복한 뒤 정치권으로 복귀한다는 시나리오다.

메가톤급 오류를 저질렀는데 안철수는 사실상 아무 책임도 지지 않는 모양새다. 자숙의 기간? 정치인이 자숙의 기간을 갖는다는 이야기는 그냥 잠깐 쉬고 돌아오겠다는 이야기 아닌가?

▲ 안철수(국민의당 전 대표)가 12일 서울 여의도 당사 브리핑룸에서 문재인 대통령 아들 취업 특혜 의혹 제보 조작 사건에 대한 입장을 발표를 마치고 당사를 나서고 있다. ⓒ정의철 기자

이미 새정치의 이미지가 붕괴됐고 지역기반도 무너졌다. 도덕성은 땅에 떨어졌고 책임감은 보이지 않는다. 도대체 이 상황에서 안 전 후보는 무엇을 기대하면서 정치에 대한 미련의 끈을 놓지 않는 것일까?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이런 비합리적 선택의 원인을 뇌의 낙관편향에서 찾는다.


낙관편향의 첫 번째 특징 : ‘나의 미래는 밝을 거야!’라는 착각

뇌 과학자이자 심리학자인 탈리 샤롯(Tali Sharot)은 저서 『설계된 망각』에서 “인간의 뇌는 근본적으로 낙관주의를 지향한다”라고 설명한다. 실제로 수많은 사람들이 흡연과 음주를 멈추지 않고 운동을 게을리 하면서도 ‘나는 건강하게 오래 살 거야’라고 믿는 게 낙관편향의 대표적 사례다.

샤롯이 진행한 간단한 실험은 이렇다. 그녀는 청중을 모아놓고 “사교적 능력이 상위 25%에 든다고 생각하면 손을 드세요”라고 묻는다. 그러면 응답자의 90% 이상이 손을 든다. 반면 “사교성이 하위 25%라고 생각하는 사람은?”이라는 물으면 손을 드는 사람이 1%도 안 된다. ‘사교성’을 ‘운전능력’으로 바꿔서 물어봐도 응답률은 비슷하다. 대부분 사람들은 자신이 매우 사교적이고 운전을 잘 한다고 착각한다는 이야기다.

이런 뇌의 낙관편향이 유발하는 큰 특징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대부분 사람들이 뇌의 낙관편향 탓에 자신의 미래를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점이다. 사람은 보통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이 펼쳐질 것이라고 믿고 자신의 삶을 낙관한다.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행동경제학자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은 이런 연구를 진행한 적이 있다. 카너먼은 새로 창업한 사업가들을 대상으로 “당신의 회사가 성공할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를 물었다. 그런데 응답자의 60% 이상이 “매우 큰 성공을 거둘 것”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정작 실제 통계를 살펴보면 미국의 신생기업 중 설립 이후 5년 동안 살아남을 확률은 35%밖에 되지 않았다.

결혼을 앞둔 커플에게 “부부가 된 뒤 이혼을 할 확률은 몇%입니까?”라고 물어도 대답은 비슷하다. 이 질문에 대부분 연인들은 “우리가 갈라설 확률은 1%도 안 된다”고 장담한다. 하지만 이는 현실과 매우 거리가 멀다. 서양 사회의 이혼율은 40%가 넘는다.


낙관편향의 두 번째 특징 : 오만과 남 탓

인간의 뇌가 낙관적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또 다른 편향은 사람들이 쉽게 자신에 대해 오만해진다는 사실이다. 샤롯은 낙관적 편향이 두드러진 학생들을 모은 뒤 이들이 성적표를 받은 후 나타내는 반응을 연구했다.

첫 번째 시험 때에는 문제도 쉽게 내고 채점도 후하게 했다. 그런데 좋은 성적을 받아든 학생들은 대부분 “역시 이번 시험은 내가 준비를 잘 했어”라거나 “내가 똑똑해서 시험을 잘 봤어”라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 두 번째 시험 때에는 문제도 어렵게 내고 채점도 박하게 했다. 그런데 형편없는 성적을 받아든 학생들의 반응은 첫 번째 시험 때와 완전히 달랐다. 적지 않은 학생들이 “이번 시험은 문제가 왜 이렇게 엉망이야?”라거나 “선생님이 엉뚱한 시험문제를 낸 탓이야” 등으로 남의 탓을 하는 경향이 강하게 발견된 것이다. 또 이 학생들은 다음에 다시 정상적으로 시험을 보면 반드시 A학점을 맞을 수 있다고 착각했다.

안철수가 바로 이런 낙관편향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게 아닌가 싶다. 그는 자숙의 기간을 가지면서 잠깐 쉬다 돌아오면 다시 한 번 자신에게 대권의 꿈이 열린다고 믿는 듯하다. 그렇기 때문에 한사코 정계은퇴를 거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의 뇌는 지나치게 낙관적이다. 그는 우선 낙관편향의 첫 번째 오류, 즉 자신의 미래를 너무 밝게 보는 잘못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새정치를 간판으로 내세운 그에게 증거 조작은 씻을 수 없는 오점이다. 하지만 그는 내심 ‘이 또한 지나가리라, 나의 미래는 밝으리라’라고 믿는 것 같다.

낙관편향의 두 번째 특징도 포착된다. 시험을 잘 보면 내가 잘난 덕분, 못 보면 시험문제가 잘못된 탓을 드는 그 오류 말이다. 안 전 후보가 혜성처럼 등장했던 2012년, 그가 얻은 정치적 파괴력은 그의 공이라고 인정할 수 있다. 운도 없지 않았겠지만 ‘새정치’라는 신선한 아젠다는 안철수 스스로 쌓은 금자탑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2017년 대선 이후 벌어진 국민의당과 안철수의 갑작스런 몰락은 누구 탓일까? 그것 또한 100% 정치인 안철수 탓이다. 설혹 안 전 후보의 주장대로 증거 조작을 전혀 몰랐다 해도 이 책임은 사라지지 않는다.

▲ 안철수(국민의당 전 대표)가 12일 서울 여의도 당사 브리핑룸에서 문재인 대통령 아들 취업 특혜 의혹 제보 조작 사건에 대한 입장을 발표를 마친후 돌아서고 있다. ⓒ정의철 기자

왜냐하면 겉으로는 새정치를 앞세우면서 정치판에서 세를 불리기 위해 안 전 후보가 사용한 방식은 정작 옛 세력과의 연대였다. 그리고 옛 정치와 손을 잡은 결과가 바로 이번 증거조작 사건이었다.

그런데 안 전 후보는 이 상황에 대해 절박한 책임감을 느끼지 않는다. 성적이 좋을 때 ‘내가 똑똑한 덕분’이라고 생각하는 건 상관없다. 하지만 성적이 나쁠 때 ‘문제가 이상한 탓’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리고 이런 낙관편향이 “다음에 정상적으로 시험을 보면 반드시 A를 맞을 수 있어”라는 망상으로 이어지면 많이 곤란하다. 분명히 말하는데, 그가 낙제를 받은 이번 시험은 전혀 이상하지 않은 정상적 시험이었다. 그리고 이번 낙제는 안 전 후보가 증거 조작이라는 커닝까지 하고도 받은 성적이었다.

그는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정치적, 도의적 책임을 모두 지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지금 그가 무슨 정치적, 도의적 책임을 지고 있나? 설마 ‘정치적 휴가’를 ‘정치적 책임’이라고 주장할 요량이 아니라면, 그는 지금 자신의 미래를 너무 낙관적으로 보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이런 태도를 행동경제학과 심리학이 ‘낙관편향’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 낙관이 전혀 합리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출처  행동경제학의 관점으로 본 안철수와 증거조작 스캔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