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 이럴수가/환경

서해안 90여년만에 1천400㎞ 짧아졌다

서해안 90여년만에 1천400㎞ 짧아졌다
2009년 08월 28일 (금) 06:02 연합뉴스


간척 등 개발로 1910년대 3천500㎞→2000년대 2천100㎞

(서울=연합뉴스) 국기헌 기자 = 우리나라 서해안 길이가 90여 년 만에 약 40% 짧아졌다. 간척이나 매립 등 인간의 개발행위가 한반도 지도를 바꾼 것이다.

28일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해안의 자연경관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한강 하구에서 전남 땅끝마을까지의 해안선 길이는 약 2천100㎞로 1910년대의 3천500㎞가량에 비해 무려 40%(1천400㎞) 짧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서해안의 굴곡도는 4.47로 동해안의 0.97에 비해서는 높았지만 1910년대의 8.16에 비해서는 절반 수준으로 떨어져 해안선의 직선화 경향이 뚜렷했다.

굴곡도는 해안선의 드나듦 정도를 수치로 환산한 것으로, 그 값이 클수록 해안선이 복잡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는 1910년대 발간된 지도와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 사이에 발간된 여러 지도를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서해안 지역은 조석작용이 탁월해 간석지, 염습지, 포켓비치 등의 경관이 잘 형성돼 있고 해안사구와 하구역이 넓게 발달해 있으나 간척이나 도로 건설 등 지속적인 해안 개발로 해안선의 길이가 줄어들고 자연경관의 질도 급속히 떨어지고 있다고 환경과학원은 지적했다.

또 해안선에서 10㎞ 이내의 토지 이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경작지와 주거지, 산업단지 등이 50% 이상을 차지한 반면 산림과 초지의 비율은 20%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강화도 남단이나 한강하구와 같이 간석지나 염습지로 이루어진 경관은 생산성이 높은 습지이자 해안 보호에 중요한 생태계로 우선 보전돼야 한다"며 "서해안의 주요 경관인 간석지나 염습지, 사구 등을 보전하려면 유형별 보전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