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 이럴수가/死大江

낙동강 사업 현장 또 선박 침몰 ‘쉬쉬’ 의혹 낙동강 사업 현장 또 선박 침몰 ‘쉬쉬’ 의혹 지난달 22일 제 6공구서 2척… 기름방제·선체인양 공개 안해 김정훈 기자 | 입력 : 2011-03-31 22:11:37 | 수정 : 2011-03-31 22:11:37 낙동강 살리기 사업 현장에 정박된 준설선과 양묘선(예인 및 작업선)이 또다시 침몰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감독관청이 의도적으로 숨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지난 1월22일 부산시와 김해시 사이 낙동강 상수원 상류에서 준설선이 침몰한 이후 2개월 만이다. 31일 낙동강유역환경청과 김해시에 따르면 지난 22일 새벽 경남 김해시 대동면 덕산리 낙동강 살리기 사업 제6공구 현장에 정박 중인 준설선(1200마력, 540t급)이 침몰했다. 이 사고로 준설선과 예인선인 양묘선이 함께 침몰했다. 사고 준.. 더보기
한밤중에 4대강 공사 밀어붙이다 작업 인부 익사 한밤중에 4대강 공사 밀어붙이다 노동자 익사 14번째 희생 김정훈 기자 | 입력 : 2011-03-23 21:37:32 | 수정 : 2011-03-23 23:13:08 벌써 14번째다. 정부의 4대강사업이 속도전 양상으로 치달으면서 야간작업이 한창이던 4대강 낙동강사업 건설현장에서 노동자가 강물에 빠져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써 4대강사업이 본격화한 2009년 8월 이후 숨진 노동자는 모두 14명에 달한다. 올 들어서만 6명째다. 사고가 난 작업 현장은 대낮처럼 불을 밝혀 놓고 24시간 철야작업 중이었다. 지난 22일 오후 9시 10분쯤 창녕군 길곡면 낙동강 함안보 하류 1㎞ 지점, 낙동강사업 18공구 현장 준설선에서 작업 중이던 김모씨(58)가 강물에 빠져 실종됐다. 경남 창녕경찰서는 김씨가 준설.. 더보기
대전 ‘4대강 삽질’에 새들은 날아가고 대전 ‘4대강 삽질’에 새들은 날아가고 갑천·유등천 등 2~3년 전 비해 조류 크게 줄어 환경단체 서식지 보호 ‘3대 하천 지키기’ 나서 윤희일 기자 | 입력 : 2011-03-22 22:21:18 | 수정 : 2011-03-22 22:21:20 ▲ 대전 갑천 둔치의 4대강 공사 현장에서 중장비 3대가 한꺼번에 공사를 벌이고 있다. 물에서는 물론 둔치 풀밭 어디에서도 새를 찾아볼 수 없다. | 윤희일 기자 이른 아침 일찍부터 3대의 중장비가 하천 둔치를 부지런히 파댔다. 옆에 있는 사람의 말이 잘 들리지 않을 정도로 굉음이 요란하다. 22일 오전 9시 대전 유성구 도룡동 갑천과 대전천이 합류하는 지점인 둔산대교 아래 하천 둔치. 100여m 길이의 둔치는 3대의 중장비로 완전히 점령됐다. 둔치의 풀밭도 대.. 더보기
공군사격장 옆에 4대강 관광시설 짓더니… 공군사격장 옆에 4대강 관광시설 짓더니… 국토부, 남한강 여주보 주변 대규모 생태공간 조성 공군, 사격장 안전구역 확대…토지수용 절차나서 한겨레 김기성 기자 » 4대강 사업 여주보 근처 공군 비행사격장 안전구역국토해양부가 ‘4대강 사업’으로 수천억원을 들여 남한강에 여주보를 신설하며 강 주변에 수변공원을 조성하는 사업을 벌이는 가운데, 이 여주보 일대를 국방부가 전투기 사격장 안전구역으로 지정해 수용하겠다고 나섰다. 정부가 ‘거액의 세금을 들여 강변 관광시설을 만들더니 군사시설로 묶어 주민들을 삶터에서 내쫓느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여주군은 “국방부가 능서면 백석리섬 일대 115만㎡에 설정된 공군사격장 안전구역을 주변 6개리 848만㎡로 확대하겠다며, 지난 9일 여주군에 토지를 매입해달라는 내용의 ‘.. 더보기
‘4대강 삽질’에 담양 대나무숲 만신창이 ‘4대강 삽질’에 담양 대나무숲 만신창이 생태하천 조성 내세워 습지보호구역 2만6천㎡ 훼손 설계변경요구도 묵살… 주민들 “내 팔 잘린듯 참담” 한겨레 담양/글·사진 안관옥 기자 » 정부의 4대강 사업으로 담양 하천습지의 대나무숲 2만6000여㎡가 파헤쳐져 있다. 환경보호종인 수달·참매 따위가 사는 주변 생태계에 위기가 닥쳤다. » 정부의 4대강 사업으로 전국 내륙습지 1호인 담양 하천습지의 대나무숲 10만㎡ 가운데서 대나무 2만여 그루가 잘려나가고 1만여 그루가 옮겨지고 있다. 지난 4일 오전 11시 전남 담양군 대전면 영산강 상류 둔치. 봄을 맞아 한창 물기가 오른 대나무숲에 이르자 ‘담양 하천습지보호지역’이라는 안내판이 나타났다. 정부가 2004년 우리나라 최초로 하천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한 소중한 자.. 더보기
“함안보 완공땐 인근 지하수위 2m 상승” “함안보 완공땐 인근 지하수위 2m 상승” 수공 연구결과…주변농지 침수대책 마련 시급 박재현 교수 “실험결과 4.1㎢ 이상 잠길 우려” 한겨레 최상원 기자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 함안보를 완공해 물을 채우면 상류 쪽으로 13㎞ 떨어진 경남 의령군 지정면 ‘성산들’의 지하수위가 2m 이상 상승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함안보 영향권에 드는 대부분의 지역에도 비슷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농경지 등의 침수피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함세영 부산대 교수(지질환경과학과) 연구팀이 한국수자원공사 의뢰로 ‘성산들판 침수현상 원인’을 연구한 결과를 보면, 4대강 사업이 완료돼 낙동강 함안보에 해발 5m까지 물을 채울 경우 성산들의 지하수위는 사업 전.. 더보기
4대강공사 선급금 30%만 제대로 썼다 4대강공사 선급금 30%만 제대로 썼다 정부, 작년 1조3천억원 지급 70% ‘대형건설사 주머니로’ 한겨레 이승준 기자 정부가 지난해 ‘4대강 사업’을 수주한 건설사들에 1조3000억원의 선급금(예산조기집행)을 국고로 지급했지만, 이 가운데 약 71%에 달하는 9300억원이 계획대로 집행되지 않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건설노조는 8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형 건설사들이 정부에서 4대강 사업 선급금 1조3081억여원을 받았지만, 이 가운데 하청업체와 건설노동자들에게 계획대로 지급하지 않은 돈이 9303억여원을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국고금관리법은 미리 지급을 하지 않으면 사업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을 때 선급금.. 더보기
[사설] 불법 판치는 4대강 건설현장 그냥 둘 건가 [사설] 불법 판치는 4대강 건설현장 그냥 둘 건가 한겨레 4대강 사업 건설현장에서 온갖 불법과 노동착취가 공공연하게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공사비를 부풀리는 것은 물론 불법 하청과 재하청을 거치면서 실제 노동자들이 받는 돈은 책정된 금액의 40%에도 못 미친다는 것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입수한 설계내역서와 재하청 및 알선 계약서 등을 근거로 제시하고 있는 만큼 상당한 신빙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온갖 불법이 판치는 4대강 현장에 대한 전면적인 실태조사를 촉구한다. 경실련이 공개한 4대강 사업의 실태는 이렇다. 덤프트럭이 모래를 적치장에 실어나르고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16분이지만 설계내역서에는 26분으로 산정해 설계가를 1.6배나 부풀렸다. 평균 낙찰률 82%를 적용한다 해도 30%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