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대강

2m까지 커진 큰빗이끼벌레 최초 발견 2m까지 커진 큰빗이끼벌레 최초 발견 [현장] 한 달도 안 돼 급성장... "호수가 된 4대강, 수문 개방해야" [오마이뉴스] 김종술 | 14.07.10 11:15 | 최종 업데이트 14.07.10 11:34 ▲ 2m까지 자란 큰빗이끼벌레 ⓒ 김종술 ▲ 2m까지 자란 큰빗이끼벌레 ⓒ 김종술 지난달 금강에서 처음 발견된 태형동물인 큰빗이끼벌레(Pectinatella magnifica)가 2m 크기까지 자란 모습이 최초로 포착됐다. 지난 6월 16일 기자가 처음 큰빗이끼벌레를 발견했을 때만 해도 어른 주먹만한 크기였다. 그런데, 지난 6월 27일 크기를 쟀을 때는 1m 50cm에 달했고, 지난 9일 금강을 다시 찾았을 때는 큰빗이끼벌레 주변에 포자들이 붙어서 거의 2m에 육박했다. 불과 한 달도 안 돼서 크.. 더보기
강바닥 뻘 시궁창 냄새 진동…지척에 132만명이 먹는 취수장 강바닥 뻘 시궁창 냄새 진동…지척에 132만명이 먹는 취수장 [심층리포트 ‘재앙’이 된 4대강 사업] ② 르포 몸살 앓는 낙동강 [한겨레] 낙동강/최상원 김일우 기자 | 등록 : 2014.07.07 20:15 | 수정 : 2014.07.08 10:35 ▲ 6일 오후 박창근 관동대 교수가 낙동강 합천창녕보 상류 강바닥에서 퍼올린 뻘을 손에 들고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보 때문에 물 흐름이 나빠져 강바닥에 뻘층이 형성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합천/최상원 기자 “강바닥 흙에서 왜 시궁창 썩은 냄새가 나지?” 낙동강 바닥에서 퍼올린 흙냄새를 맡던 연구원들이 인상을 찌푸리며 이렇게 말했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공학과)를 단장으로 환경 관련 학과 교수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참여하는 ‘4대강 조사단’은 지난.. 더보기
물고기 놀던 모랫바닥 실종…초여름인데 벌써 녹조 물고기 놀던 모랫바닥 실종…초여름인데 벌써 녹조 [심층리포트 ‘재앙’이 된 4대강 사업] ③ 르포 생명 잃은 영산강 [한겨레] 영산강/안관옥 기자 | 등록 : 2014.07.08 20:12 | 수정 : 2014.07.09 11:20 ▲ 8일 오전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보 인근 영산강에서 광주환경운동연합과 박창근 관동대 교수 등이 영산강 수질 상태를 살피기 위해 강바닥의 흙을 채취하고 있다. 광주/뉴시스 8일 오후 3시 전남 나주시 다시면 영산강 죽산보. 장마 기간인데도 보의 가장자리를 따라 번지고 있는 녹조의 조짐이 보였다. 박철웅(56) 전남대 교수(지리교육)는 “강은 흘러야 에너지가 생긴다. 흘러야 여울이 생기고 모래가 쌓여서 수질을 정화하고 온갖 생명을 품을 수가 있다”며 “흘러가는 물에서는 녹조가 .. 더보기
"MB 정부, ‘4대강’ 신속 완공 위해 건설사 담합 조장” 삼성물산 “이명박 정부, ‘4대강’ 신속 완공 위해 건설사 담합 조장” [민중의소리] 이병호 기자 | 발행시간 2014-07-08 11:19:00 | 최종수정 2014-07-08 11:19:00 ▲ 4대강 사업으로 상류에서 하류까지 낙동강이 녹색의 썩은 물로 변해가고 있다. 낙동강복원 부산시민운동본부가 지난 6월 항공촬영한 낙동강 사진을 언론에 공개했다. 사진은 낙동강 구미보 상류의 모습. 수질 오염이 확연하다. ⓒ낙동강복원부산시민운동본부 삼성물산이 4대강 공사의 입찰 담합에 대한 과징금을 취소하라며 공정거래위원회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정부가 담합을 알면서도 묵인했고 도리어 담합을 조장하기까지 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대형 건설사들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받은 4대강 공사 입찰 담합 관련 .. 더보기
검찰, ‘4대강 배임 MB 고발’ 9개월째 고발인 조사 안해 [단독] 검찰, ‘4대강 배임 MB 고발’ 9개월째 고발인 조사 안해… MB에 대한 '봐주기식 수사' 논란 [민중의소리] 윤정헌 기자 | 발행시간 2014-07-08 18:54:07 | 최종수정 2014-07-08 18:54:07 지난해 10월 4대강조사위원회와 4대강복원범국민대책회의가 이명박 전 대통령 등 4대강 사업 책임자들을 배임 등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한 것과 관련해 검찰이 9개월째 고발인 조사를 하지 않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들 단체는 지난해 10월 "이 전 대통령 등은 4대강 사업이라고 속인 채 국민이 반대하는 대운하사업을 강행했다"며 "그 과정에서 대형 건설사들의 담합 비리까지 자행됐다"고 고발했다. 당시 고발에는 3만9천여명이 국민이 참여했다. 그러나 검찰은 고발 이후 9개월.. 더보기
‘4대강 빚 폭탄’ 수자원공사 ‘성과급 파티’ ‘4대강 빚 폭탄’ 국민에게 떠넘긴 수자원공사 자기들끼리 ‘성과급 파티’ [심층리포트] 재정 지원 요청한 수공, 흑자 나도 빚 안 갚아 수천만원 ‘빚 잔치’ 임직원 모두에게 돌아가 [한겨레] 세종/김규원 기자 | 등록 : 2014.07.06 21:52 | 수정 : 2014.07.07 11:22 ▲ 2013년 8월2일 4대강 사업으로 건설한 낙동강 창녕함안보의 하류 쪽에 있는 경남 창원시 의창구 본포취수장 앞에 1일 오후 녹색 페인트를 뿌린 듯한 녹조 띠가 넓게 퍼져 있다. 취수구 앞에 차단막을 설치하고 물을 뿌려 녹조 유입을 막고 있다. 본포취수장에서 취수한 물은 정수장을 거쳐 창원 5000여 가구 주민들의 식수와 공단 용수로 공급한다. 창원/김정효 기자 한국수자원공사가 4대강 사업과 경인운하 사업으로 .. 더보기
‘4대강 빚’ 8조원도 세금으로 충당? ‘4대강 빚’ 8조원도 세금으로 충당? 개발수익 예상 크게 못미쳐 [민중의소리] 이병호 기자 | 발행시간 2014-07-01 12:38:22 | 최종수정 2014-07-01 12:38:22 4대강 사업으로 생긴 빚을 국민의 세금으로 갚는 방안이 추진돼 논란을 빚고 있다. 국토교통부(국토부)는 30일 “수자원공사(수공)의 부채 8조원을 상환하기 위해 내년도 예산안에 800억원을 반영할 것을 기획재정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부채 원금 상환을 위한 800억원 외에 부채 이자를 갚기 위한 3천170억원도 기재부에 추가로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2009년 9월 수공이 4대 강 사업에 8조원을 투자하도록 결정하면서 이자는 전액 국고에서 지원하고 원금은 친수구역 조성사업을 통한 투자 수익으로 상환.. 더보기
강은 썩고 괴생물은 창궐 강은 썩고 괴생물은 창궐, 들통에 담아 MB에게 선물? [현장] 낙동강엔 녹조와 큰빗이끼벌레가 썩은 물고기들과 뒤엉켜 [오마이뉴스] 정수근 | 14.07.06 11:47 | 최종 업데이트 14.07.06 17:40 ▲ 낙동강에서 첫 발견된 큰빗이끼벌레 ⓒ 정수근 낙동강에서도 발견된 괴생물체 4대강에 괴생물체가 서식한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금강에 이어 영산강에도 이 괴생물체가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그렇다면 4대강 사업의 가장 큰 구간이자, 녹조라떼의 배양소가 된 낙동강에는 문제의 괴생물체가 없을까. 5일 환경재단과 대구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은 낙동강 현장조사를 통해 이 괴생물체가 실제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밝혀냈다. 최열 환경재단 대표를 비롯한 환경재단 활동가들은 지난 4일 금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