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13. 治政篇 13. 治政篇공무원은 나라의 공복(公僕)이니 淸(청렴), 愼(근신), 勤(근면)이 처신하는 자세이다.明道先生曰 一命之士 苟有存心於愛物 於人必有所濟명도선생왈 일명지사 구유존심어애물 어인필유소제☞ 명도선생이 말하기를, "처음으로 벼슬을 얻는 사람이라도 진실로 남을 사랑하는 마음을 지닌다면 남에게 반드시 도움을 주는 바가 있을 것이다."▷ 一命之士; 처음으로 벼슬을 임명받은 선비 ▷ 苟 : 진실로 구 ▷ 存心 : 마음에 ~을 지니다 ▷ 於 : ~에, ~에서, ~에게 ▷ 物 : 뒤의 '於人~'의 '人'과 같은 뜻 ▷ 濟 :건널 제,구제할 제唐太宗御製云 上有麾之 中有乘之 下有附之당태종어제운 상유휘지 중유승지 하유부지幣帛衣之 倉食之 爾俸爾祿 民膏民脂폐백의지 창름식지 이봉이록 민고민지下民易虐 上蒼難欺하민이학 상창난기.. 더보기 12. 立敎篇 12. 立敎篇배움의 뜻을 바로 세워(立敎) 세상에 몸을 세운다(立身).子曰 立身有義而孝爲本 喪祀有禮而哀爲本자왈 입신유의이효위본 상사유례이애위본 戰陣有列而勇爲本 治政有理而農爲本전진유열이용위본 치정유리이농위본居國有道而嗣爲本 生財有時而力爲本거국유도이사위본 생재유시이력위본☞ 공자가 말하기를, "입신(立身)에는 의(義)가 있으니 효가 근본이요, 상(喪)과 제사에 예(禮)가 있으니 슬퍼함이 근본이요, 싸움터에 질서[대열(隊列)]가 있으니 용맹이 근본이 된다.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는 이치(理致)가 있으니 농사가 근본이 되고, 나라를 지키는데 도(道)가 있으니 계승[대를 이음, 후사(後嗣)]을 잘하는 것이 근본이 되며, 재물을 생산함에는 때가 있으니 노력이 그 근본이 된다."▷ 立身 : 세상에 출세하여 부모의 이름을 .. 더보기 11. 省心篇 (下) 11. 省心篇 (下)明鏡으로 얼굴을 살펴보듯 마음의 거울로 자신을 살펴보라.眞宗皇帝御製曰 知危識險 終無羅網之門진종황제어제왈 지위식험 종무라망지문擧善薦賢 自有安身之路 施仁布德 乃世代之榮昌거선천현 자유안신지로 시인포덕 내세대지영창 懷妬報寃 與子孫之爲患 損人利己 終無顯達雲仍회투보원 여자손지위환 손인리기 종무현달운잉 害衆成家 豈有長久富貴 改名異體 皆因巧語而生해중성가 기유장구부귀 개명이체 개인교어이생 禍起傷身 皆是不仁之召화기상신 개시불인지소 ☞ 진종황제의 에 이르기를, "위태로움을 알고 험한 것을 알면 끝내 그물을 펼쳐놓은 문과 같은 법망(法網)에 걸리는 일이 없을 것이요, 선하고 어진 사람을 천거(薦擧)하면 자신을 편안하게 하는 길이 저절로 생길 것이고, 인(仁)을 베풀고 덕(德)을 폄은 곧 대대로 번영을 가져.. 더보기 11. 省心篇 (上) 11. 省心篇 (上)살아가면서 한번쯤 자신의 마음을 되돌아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景行錄云 寶貨 用之有盡 忠孝 享之無窮경행록운 보화 용지유진 충효 향지무궁☞ 에 이르기를, "보화(寶貨)는 쓰면 다함(끝)이 있으나, 충효(忠孝)는 누려도 다함이 없다."▷ 貨 : 재화 화, 재물 화 ▷ 盡 : 다할 진 ▷ 享 : 누릴 향. *누리다 = 마음껏 겪으면서 맛봄 ▷ 窮 : 다할 궁, 끝날 궁, 막힐 궁家和貧也好 不義富如何 但存一子孝 何用子孫多가화빈야호 불의부여하 단존일자효 하용자손다☞ 집안이 화목하면 가난해도 좋은 것이요, 의롭지 않다면 부자인들 무엇하랴. 단지 한 명일지라도 효도하는 자식이 있으면 되는 것이지, 자손만 많아서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也 : 어조사 야. 글의 끝에 쓰이면 긍정이나 판단을 나타내어.. 더보기 10. 訓子篇 10. 訓子篇자식에게 천금을 주기보다는 한 가지 재주를 가르치는 것이 낫다.景行錄云 賓客不來 門戶俗 詩書無敎 子孫愚경행록운 빈객불래 문호속 시서무교 자손우☞ 에 이르기를, "손님이 찾아오지 않으면 집안이 저속(低俗 또는 비속(卑俗))해지고, 시서(詩書 : 詩經과 書經)를 가르치지 않으면 자손이 어리석어진다."▷ 賓 : 손 빈 ▷ 門 : 문 문 ▷ 戶 : 지게 호 *지게는 마루나 부엌 같은 데서 방으로 드나드는 외짝문. 門戶는 대문과 방문이라는 뜻으로 '한 집안'이나 '문파(門派)', '국가' 등을 비유한다. ▷ 俗 : 속될 속莊子曰 事雖小 不作不成 子雖賢 不敎不明장자왈 사수소 부작불성 자수현 불교불명☞ 장자가 말하기를, "일이 비록 작더라도 하지 않으면 이루지 못할 것이요, 자식이 비록 어질더라도 가르치.. 더보기 9. 勤學篇 9. 勤學篇널리 배우기를 힘써 뜻을 굳게 가져라子夏曰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仁在其中矣자하왈 박학이독지 절문이근사 인재기중의☞ 자하가 말하기를, "널리 배워서 뜻을 두텁게 하고, 간절하게 묻고 가까운 것에서부터 생각해 나가면 인(仁)은 그러한 가운데에 있다."▷ 博 : 넓을 박 ▷ 篤 : 도타울 독, 굳을 독 ▷ 切 :끊을 절,간절할 절, 절실할 절 ▷ 矣 : 단정·결정·한정·의문 등의 뜻을 나타내는 어조사莊子曰 人之不學 如登天而無術장자왈 인지불학 여등천이무술學而智遠 如披祥雲而覩靑天 登高山而望四海학이지원 여피상운이도청천 등고산이망사해☞ 장자가 말하기를, "사람이 배우지 아니함은 재주없이 하늘에 오르려는 것과 같고, 배워서 지혜가 깊어짐은 상서로운 구름을 헤치고 푸른 하늘을 보며, 높은 산에 올라 사해(四海.. 더보기 8. 戒性篇 8. 戒性篇성품을 경계하도록 하는 경구들이 실려 있다. 참을 인(忍)자 셋이면 살인도 피하고, 참고 또 참으면 불행도 피해간다.景行錄云 人性如水 水一傾則不可復 性一縱則不可反경행록운 인성여수 수일경즉불가복 성일종즉불가반制水者必以堤防 制性者必以禮法제수자필이제방 제성자필이예법☞ 에 이르기를, "사람의 성품은 물과 같아서 물이 한번 기울어져 쏟아지면 다시 담을 수 없듯이 성품도 한번 놓여지면(방종해지면) 되돌릴 수 없다. 물을 잡기 위해서는 반드시 둑을 쌓아야 하듯이 성품을 올바로 다스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예법을 지켜야 한다."▷ 傾 : 기울 경 ▷ 則 : ~하면 ▷ 不可 : ~할 수 없다, ~해서는 안된다. ▷ 復 : 돌아올 복 ▷ 縱 : 놓을 종, 쫓을 종 ▷ 反 : 되돌릴 반 ▷ 制 : 억제할 제, 제어할.. 더보기 7. 存心篇 7. 存心篇인의(仁義)의 마음 지키기를 성(城) 지키듯이 하라.景行錄云 坐密室如通衢 馭寸心如六馬 可免過경행록운 좌밀실여통구 어촌심여육마 가면과☞ 에 이르기를, "밀실(密室)에 앉아 있더라도 마치 네 거리에 앉은 것처럼 여기고, 작은 마음 다스리기를 마치 여섯필의 말을 부리듯 하면 허물을 면할 수 있다."▷ 坐 : 앉을 좌 座 : 자리 좌 ▷ 密室(사방이 막혀 있는 곳) ↔ 通衢(사방이 뚫린 곳) ▷ 衢 : 네거리 구 ▷ 馭 : 말 부릴 어, 다스릴 어 ▷ 寸 : 마디 촌, 작을 촌. 길이의 단위로 一寸은 一尺의 1/10 ▷ 六馬 : '여섯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로도 풀이함 ▷ 過 : 허물 과擊壤詩云 富貴如將智力求仲尼年少合封侯격양시운 부귀여장지력구 중니연소합봉후世人不解靑天意 空使身心半夜愁세인불해청천의 공.. 더보기 이전 1 ··· 890 891 892 893 894 895 896 ··· 9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