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일주일을 여는 마음의 창(窓) - `당신은 아름답습니다` 더보기
일주일을 여는 마음의 창(窓) - `행복은 지금` 더보기
일주일을 여는 마음의 창(窓) - `가장 소중한 약속` 더보기
일주일을 여는 마음의 창(窓) - `꾸미지 않아도 아름다운 마음` 더보기
우물이 더럽다고 침 뱉지 마라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엄마는 내게 한 가지를 당부하셨다. 우물이 아무리 더러워도 침을 뱉지 말라는 거였다. 그땐 그냥 귓등으로 흘려 들었다. 연차가 쌓이고 진급을 하고 이직을 하면서 누구나 그렇듯 내게도 몇 번의 사건들이 있었다. 한 번은 실력도 없고 지각을 일삼는 상사가 모욕적인 언사로 꾸중을 하자 참을 수가 없었다. 마침 여행을 계획하고 있던 차라 담아두었던 얘길 다 쏟아붓고는 확 그만둬버렸다. 여행을 다녀오고 새직장을 구하고 나는 그 일을 잊어버렸다. 몇 년이 지나고 다시는 만날 일 없을 것 같던 그 상사 때문에 나는 크게 낙담해야만 했다. 조건이 좋은 회사에 면접을 보러 갔는데 면접관이 그 상사와 첫 직장 동기였던 거다. 그 상사에게 전화를 걸어 나에 대해 물으니 당연히 좋은 소리.. 더보기
중고차 책상 위에 올려둔 휴대폰이 울렸다. "여보세요?" "네, 혹시 여기 주차되어 있는 차 주인이세요?" "네, 그런데요?" 대답과 함께, '차를 어디에 주차해 두었지?'라고 자문하며 차를 빼달라는 건가 생각했다. "혹시 차 파실 생각 없으세요?" "@.@" 지나가다가 내 차를 보고 마음에 들었던 모양이다. 하긴 13년이 넘었으니 누가 봐도 부담없는(?) 차이긴 하다. 그는 근처에서 컴퓨터 부품 가게를 운영하는데 자신에게 딱 필요한 차량이라고 했다. 세상에 내 차를 탐내는 사람도 있구나 싶은 것이 유쾌하기는 했지만 나에게도 필요한 차량이다. 그 정도 차량은 벼룩시장만 찾아봐도 30만원이면 충분히 구할 수 있을 거라고 조언을 해주고 전화를 끊었다. 그뿐이 아니다. 도대체 누가 저런 차량을 담보로 대출을 해준다고.. 더보기
나 보고 아침형 인간이 되라고? 몇 해 전 아침형 인간이 전 국민의 화두가 된 적이 있었다. 같은 제목의 책이 베스트셀러 반열에 오르면서 사람들은 아침형 인간이 되기 위해 생활습관을 전면 수정하거나 기업들은 아예 출근시간을 앞당겨 아침형 인간을 강요하기도 했다. 대한민국 CEO의 평균 기상시간이 새벽 5시라는 신문기사도 뜨고 암튼 4,500만이 하나되어 아침형 인간이 되기 위해 안간힘을 썼었다. 책의 내용인즉 사람의 뇌는 새벽 5시부터 8시까지 가장 왕성한데 이때의 1시간은 다른 3시간의 효율과 같아서 시간에 쫓기던 사람이 시간을 지배하게 된다는, 인생을 두 배로 살 수 있다는 뭐 그런 내용이었다. 미국의 대통령 카네기는 인생의 가장 큰 지출이 아침잠이라고 충고했다. 그래서 나도 해봤다. 새벽 5시에 일어나 신문을 정독하고, 아침밥을 .. 더보기
고향 나에게 고향은 어떤 곳일까? 깨달은 자의 침묵처럼 어두워진 거리에서 나는 가끔 그렇게 자문한다. 그리고 검게 변한 강물에 붉은 불빛을 드리운 자동차 행렬들을 볼 때면, 살았던 시간보다 몇 갑절은 긴 거리를 거슬러 자신이 태어난 강으로 되돌아가는 연어들의 회귀를 생각한다. 구석진 강이라 해도 돌아갈 곳이 있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다. 연어들의 늙은 회귀처럼 나에게도 돌아갈 고향이 있는 것인가. 사람들은 가끔 묻는다, 서울도 고향이냐고. 그러나 내 기억의 고향에도 연 날리던 바람 부는 언덕과 썰매를 지치던 겨울 논바닥이 있으며 줄을 매달아 그네를 타던 커다란 은행나무가 자라고 있다. 여름이면 몰려가서 멱을 감던 냇가와 낚시를 즐기던 저수지까지. 그러니 추억이 남아 있는 한 진짜 숲이 있던 자리에 아파트숲이 자.. 더보기